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3.25 18:03 수정 : 2011.03.25 18:03

자료제공 : 서포트전자담배

전자담배 서포트가 소비자들의 눈길을 사로 잡는 이유

앞으로 전세계 흡연 인구가 30~50년내 사라질 것이란 조사 결과가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10년 전에는 미국인 4명 중에 1명이 흡연자였지만 최근에는 5명 중 1명으로 감소했다. 지금도 흡연자의 감소세는 지속되고 있다. 이처럼 현대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는 높아지면서 금연에 대한 노력 또한 행동으로 보여지고 있다.

이렇게 끝없는 흡연과의 싸움을 어떻게 하면 끝낼 수 있을까.

Digital YTN에서 실시한 소비자 만족도 평가를 통해 고객들로부터 높은 점수로 [2011년 상반기 E-BIZ 브랜드 대상] 생활 금연부문에 선정된 바 있는 서포트전자담배(www.support-cigar.com)가 좋은 해결책으로 주목 받으면서 그 입지를 다져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 흐름과 더불어 전자담배 전문업체 서포트(www.support-cigar.com)는 바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점점 늘어가는 대한민국의 전자담배 시장에서 서포트는 최고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경쟁업체와의 적절한 협력과 선의의 경쟁으로 담배시장의 활성화에 앞장서고 있으며 최고의 제품을 위한 엄격한 품질관리와 신용을 바탕으로 한 확실한 사후처리를 제공함으로써 엄선된 제품만을 개발/제조 및 수입/유통 하는 최고의 점자담배 기업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국내 전자담배 시장의 흐름은 똑같은 제품에 상표만 달리하여 출시하고 있지만 서포트 전자담배는 타 업체와 달리 현재 국내시장을 더욱 더 발전시키기 위하여 국내유일. 소비자가 직접 참여하는 디자인 개발과 함께 독창적이고 확실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전자담배 업계에 최고의 다크호스로 부상하고 있다.


서포트는 국내 전자담배 업계에서 유일하게 차별화된 상품인 “제논(Xenon), 넥스(NEX), 시크릿(Secret)”을 출시하여 소비자들에게 각광받고 있다. 서포트는 기존의 전자담배와 달리 무화기(연기발생장치) 내부 열선의 소재를 바꾸고 여러 기술적인 업데이트를 하여 액상 고유의 향을 잘 살려주고 무화량 또한 일반 연초담배의 두 배 이상 많기 때문에 미각, 시각 적으로 큰 만족을 준다. 게다가 모든 휴대용전자기기의 단점인 배터리 방전 마저 걱정할 필요 없이 1300mAh의 넉넉한 배터리가 2개로 구성되어 있어 하루 한 갑 흡연자 기준시, 7일 가량 사용할 만한 엄청난 성능을 자랑한다.

최근 전자담배가 이슈가 되면서 여러 업체들이 식약청 허가를 득한 금연보조제를 TV등의 매체를 이용하여 판매하고 있지만 그것은 전자담배가 아닌 금연보조제로서 서포트 전자담배와는 큰 차이가 있다. 많은 사람들이 니코틴이 해롭다고 알고 있지만 연초담배가 해로운 이유는 타르 및 발암물질 때문이다. 오히려 니코틴은 축적되지 않고 땀이나 소변으로 배출되고 니코틴의 역할은 담배 피울 때 느껴지는 목넘김이다. 때문에 니코틴이 없는 전자금연보조제로 만족을 느끼기엔 다소 부족할 것이다. 또한 전자금연보조제는 식약청 허가를 받기 위해 소요되는 기간이 약 2~3년 가량 걸리기 때문에 이미 3년전 출시된 모델을 판매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결국 최신 기기장치로 담배와 가장 유사한 맛을 느끼며 타르 및 발암물질 없이 흡연할 수 있는 방법은 오직 전자담배 서포트 뿐이라고 배남권 대표는 자부하며 앞으로도 차별화된, 독자적인 신제품 개발에 매진하겠다고 약속한다.

서포트 전자담배는 소자본으로 창업의 꿈을 이룰 수 있는 소자본 창업 아이템이다. 가맹비,총판비용없이. 창업조건에 최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자료제공 : 서포트전자담배

자세한 사항이나 대리점 및 구입 문의는 서포트 홈페이지(www.support-cigar.com)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02-3424-3380 , 010-9206-6579 , 010-9353-7155

* 자료 제공 : 서포트전자담배(www.support-cigar.com)

<본 기사는 한겨레 의견과 다를 수 있으며, 기업의 정보 제공을 위한 기사입니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