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1.04.27 20:56
수정 : 2011.04.27 20:56
|
삼성그룹의 새만금 그린에너지 산업단지 조성계획
|
11.5㎢에 풍력발전·태양전지 등 연구·생산시설 조성
생산·고용유발 효과 막대…‘대기업 배불리기’ 비판도
그린에너지 산단 조성 MOU 체결
삼성그룹이 27일 전라북도 새만금지역에 그린에너지 종합산업단지를 구축하기로 정부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함으로써, ‘새만금 사업’은 새로운 시대를 맞게 됐다. 삼성의 뒤를 이어 친환경 및 신재생 에너지 사업에 관심을 가진 다른 국내외 기업들이 추가로 이 지역으로 몰려들 가능성도 있어 세계적인 규모의 친환경 에너지 생산단지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
삼성이 그린에너지 종합산업단지를 조성하기로 한 곳은 2021년 이후 매립 및 개발이 진행되는 부지 77.1㎢(2332만평) 가운데 신·재생 에너지용 부지 11.5㎢(350만평)이다. 삼성이 추진하는 그린에너지 종합산업단지 넓이는 서울 여의도 면적의 4배 크기로, 친환경 및 신·재생 에너지 산업 단지로는 세계 최대 규모이다.
삼성은 1차로 2021년부터 7조6000억원을 투자해 풍력 발전기와 태양 전지, 에너지 저장 장치 등을 개발·생산하는 그린 에너지 종합 연구개발센터를 만들기로 했다. 이어 2차로 연료전지 연구개발 및 생산시설을 추가해 그린에너지 종합산업단지를 완성할 계획이다. 이로써 삼성의 신수종 사업 가운데 바이오 사업은 인천 송도, 발광다이오드(LED)는 대구, 신·재생 에너지는 새만금을 기반으로 하는 틀이 잡혔다. 삼성은 지난해 5월 태양전지, 자동차용 전지, 발광다이오드, 바이오제약, 의료기기를 신수종 사업으로 정하고, 2020년까지 23조원을 투자하기로 한 바 있다.
삼성은 새만금지역을 그린 에너지 사업 단지로 결정한 배경에 대해 “그린 에너지 산업의 최대 수요처로 예상되는 중국과의 교역에 편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고, 그린 에너지 사업은 사업 특성상 대규모 부지가 필요한데 새만금은 개발 초기라서 필요한만큼의 부지를 쉽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새만금에서 비행기로 2시간 안에 갈 수 있는 1200㎞ 반경 안에는 인구 100만 이상의 도시가 51곳이나 되고, 거주하는 인구만도 7억여명에 이른다.
이병국 총리실 새만금사업추진기획단장은 “삼성의 이번 투자는 녹색성장 및 신성장동력 창출이라는 개발 방향에 부합하는 투자”라며 “투자 계획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법령의 범위 내에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친환경 에너지 사업을 준비중인 다른 기업들도 새만금으로 몰려들 것으로 보인다. 첫 후보자로 거론되는 기업들은 삼성의 친환경 에너지 사업 협력업체들이다.
이와 함께 전북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삼성의 새만금 그린에너지 종합산업단지 조성이 1단계(2021∼2025년)에서 이미 9조원의 생산유발효과를 낼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2차 투자가 이뤄지는 2026년 이후에는 해마다 15조2000여억원의 생산유발효과가 날 것이란 게 정부 전망이다.
하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오랜 논란과 사회적 갈등 끝에 만들어진 새만금 땅이 용도 변경을 통해 결국 재벌 기업으로 넘어간 탓이다. 게다가 삼성의 그린에너지 종합산업단지 건설이 2020년 이후에나 추진된다는 점도 변수다. 정부나 삼성측의 장미빛 전망과 달리 대내외 환경 변화에 따라 투자개발 계획 자체가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김재섭 기자
jskim@hani.co.kr
|
새만금의 역사
5공때 계획…용도변경 둘러싸고 10년 갈등
새만금 개발 사업의 역사는 5공 때인 198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전두환 정권은 새만금 사업의 모태격인 ‘서해안 간척사업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호남을 홀대한다’는 지역 여론을 잠재우기 위해서였다. 새만금 사업은 노태우 대통령 때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간척지 용도를 둘러싼 갈등이 10여년 가까이 계속됐다.
정부는 결국 2007년 4월 ‘새만금 내부개발구상’을 내놓으면서 애초 계획과 달리 72%만을 농지로 조성하고 나머지 28%를 산업 및 관광 등 복합개발용지로 개발하겠다고 계획을 바꿨다. 이명박 정부는 2008년 이를 대폭 수정해 농지를 30%로 축소하고 복합용지를 70%까지 확대하는 쪽으로 개발안을 변경했다. 우여곡절 끝에 전북 군산과 부안을 잇는 33㎞의 방조제가 지난해 4월 완성됐고, 현재 전체 개발 용지의 84.1%에 달하는 238㎢에 대한 1단계 개발사업이 2020년 완성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김경욱 기자 dash@hani.co.kr
|
|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