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12.22 17:19 수정 : 2011.12.22 17:19

자료제공 : 편강한의원

안면홍조, 갱년기 스트레스를 심화시켜… 효과적인 근본치료 필요

겨울에 눈이 오면 아이들은 밖에서 뛰놀기를 좋아한다. 눈사람을 만들거나 눈싸움을 하는 등 추운 곳에서 신 나게 놀고 따듯한 집으로 들어온 아이들의 볼은 빨갛다. 날이 추운 실외에서 따뜻한 실내로 들어오면 찬 날씨에 수축하였던 혈관이 갑자기 확장하기 때문이다.

이런 증상은 추운 곳에서 놀다 들어온 아이들에게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갱년기를 맞은 여성들에게서도 이런 안면홍조증이 나타나 갱년기 스트레스를 더하고 있다.

안면홍조증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잘 나타난다. 주부 박모 씨(54세)는 2년 전에 폐경이 되었고, 수년째 안면홍조로 고생하고 있었다. 처음에는 술을 마신 것처럼 얼굴이 후끈거리다가 전신에 열이 오르는 증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최근에는 뺨이 붉어지고 피부가 벗겨지면서 각질이 생기고 가려움증이 심해지면서 모세혈관 일부가 터지는 증상까지 발생했다. 박씨는 원래 있었던 갱년기 우울증이 심해지고 대인관계를 꺼리는 지경까지 이르렀다.


박씨는 답답한 마음에 갱년기 증상과 안면홍조에 좋다는 건강식품을 복용해보기도 하고 안면홍조와 같은 피부질환에 효과가 좋다는 화장품도 써봤지만 큰 소용이 없었다. 안면홍조증이 발병했을 때 피부과에서 처방하는 연고도 사용했다. 처음에는 증상이 사라지는 것 같았으나 완전히 낫지는 않았다. 연고를 오래 사용하자 피부가 얇아지고 혈관이 밖으로 비치는 느낌을 받아 연고 사용을 중단했다. 그러자 피부 각질이 빠르게 증가하고 가려움증이 심해졌다.

여성 대부분은 49세 전후에 난소의 기능이 퇴화하여 폐경을 맞게 되는데, 이 시기를 갱년기라고 한다. 갱년기의 대표적 증상이 바로 상열감에 의한 안면홍조이고 특징은 안면홍조와 발한이 같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또한, 우울증, 골다공증, 수면장애, 안구건조증이 같이 나타나기도 한다.

안면홍조증이란 모세혈관의 신경이 자극에 쉽게 반응하거나 혈관 활성물질에 의해 혈관의 평활근이 이완돼 혈관이 확장되고, 늘어난 혈관에 더운 혈액이 몰려 얼굴이 화끈거리고 붉어지는 증상을 말한다.

갱년기 여성은 하루에도 몇 번씩 이런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갱년기 우울증과 겹쳐 나타나면 우울증 증세를 심하게 하고, 대인기피증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따라서 큰 질병은 아니지만 빠르게 치료하는 것이 좋다.

많은 사람이 피부과를 찾아 연고나 약을 처방받지만 일시적으로 증상이 개선되어도 근본적인 치료가 되지 않는다. 최근에는 혈관 레이저 치료를 받는 환자가 많아졌지만, 피부상태에 따라 제약이 있고 안면홍조가 나타난 근본적인 원인이 개선되지 않으면 재발할 확률도 높다.

한의학에서는 안면홍조를 인체 내부의 여러 원인이 작용해 열 균형 부조화가 피부로 반영된 증상이라고 본다. 스트레스의 심화 등으로 심장과 간의 열이 얼굴로 올라오거나 상열하한증으로 상초 부위에 열이 몰려 있거나 갱년기 성호르몬 기능 저하때문에 수승하강이 안 될 때에 발생한다. 한의학적 치료는 인체의 열 불균형을 바로잡아 안면에 몰리는 열을 분산시키고 두한족열, 흉한복열을 이루어주면 근본적인 치료가 될 수 있다.

안면홍조증이 있는 사람들은 맵거나 열량이 높은 음식, 초콜릿, 견과류, 카페인 섭취를 줄이고 콩이나 두부 같은 여성호르몬 역할을 하는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가벼운 운동과 더불어 금주·금연을 하고 수분을 많이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도움말: 편강한의원 명동점 박수은 원장

* 자료 제공 : 편강한의원

<본 기사는 한겨레 의견과 다를 수 있으며, 기업이 제공한 정보기사입니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