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제공 : 아이누리한의원
|
연일 35℃에 가까운 폭염으로 밭일을 하던 노인에게서 첫 사망자가 발생했다. 나이가 들면 우리 몸은 체온조절기능은 물론 수분이나 전해질 대사도 떨어지게 된다. 더위에 취약해지고 그만큼 야외 활동에 주의해야 한다. 어린 아이들도 더위에 약하기는 마찬가지.
여름은 수목이 우거지고 만물의 기운이 밖으로 팽창하는 계절이다 보니 아이들의 기운 역시 어느 때보다 왕성해져 자꾸 밖으로만 나가고 싶어 한다.
어른보다 땀이 많고 행동이 분주하고, 작은 환경 변화에도 쉽게 체온이 변하기 때문에 여름 건강을 지키는 일이 만만치 않다. 정신없이 놀다가 더위 먹는다는 것조차 알아채지 못한다. 그렇다고 더위가 지날 때까지 아이를 과도한 냉방 속에 가둬둘 수도 없다. 더윗병 피하려다 냉방병으로 고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냉방병, 실내외 온도차로 인해 신경중추에 이상
냉방병의 정확한 이름은 ‘냉방증후군’. 병이라기보다는 증상이다. 우리 몸이 외부에서 여름의 더운 기온에 적응하고 있다가 갑자기 실내의 낮은 기온을 만났을 때 체온을 조절하는 신경 중추에 이상이 생겨 일어나는 일종의 증후군이다. 이창원 아이누리한의원(분당점) 원장에 따르면 “한의학에서는 여름에 더위로 인해 생기는 병을 ‘서병(暑病)’이라고 하는데, 그중 더위를 먹어서 생기는 더윗병은 양서(陽暑), 실내외의 온도차로 생기는 냉방병은 음서(陰暑)”라고 한다.
우리 몸은 여름철의 열기를 그대로 담고 있으면 정상적인 대사 작용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땀으로 열기를 내보냄으로써 더워진 몸을 식히게 된다. 그런데 실내외의 온도차가 너무 차이 나면(보통 5℃이상) 피부 쪽으로 몰려 있던 몸의 더운 기운과 냉방으로 인한 찬 공기가 충돌하게 되면서 머리가 아프고 몸이 쑤시고, 열이 나고, 배가 아프고, 오들오들 떨리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실내외 온도차 줄이고 과도한 냉방 삼간다
여름감기와 냉방병을 예방하려면 실내외 온도차부터 줄여야 한다. 외부 온도가 30℃를 넘을 때 온도차를 5℃ 이내로 설정하면 적합한 실내 온도는 24~26℃가 된다. 에어컨을 켜더라도 1시간마다 10분 이상 환기한다.
실내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미니 분수, 공기청정식물 등을 이용, 50% 정도의 습도를 유지한다. 에어컨 바람은 벽 쪽이나 위쪽을 향하게 하고 아이 몸에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외출 시에도 주의한다. 은행이나 마트, 백화점, 지하철 등 어디를 가나 냉방 시설이 잘 되어 있다. 아이와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공공장소에 갈 때에는 얇은 긴소매 옷, 양말을 준비한다. 땀에 젖은 상태에서 에어컨 찬바람을 맞지 않도록 조심한다. 옷을 갈아입히거나 차라리 자연 바람으로 땀을 식힌 후 들어간다.
감기 예방 수칙도 잘 지킨다. 외출 후에는 반드시 손발을 씻고, 양치질 하는 습관을 들인다. 따뜻한 물이나 비타민이 풍부한 과일을 먹이고 아침, 저녁 시간에 30분 정도 가벼운 운동을 한다. 냉장고에서 꺼낸 찬 음식, 찬 음료, 찬 과일을 상온에 20~30분 두었다 먹이면 속이 냉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속 따뜻하게 보해 배앓이 동반하지 않도록 주의
여름감기는 몸살, 콧물, 코막힘 등을 보이다가 점차 기침이 심해지면서 소화기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심할 경우 고열과 함께 두통,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창원 원장은 “여름에는 더위로 땀을 많이 흘려 몸 안의 원기가 빠져나가는 바람에 몸속은 냉한 상태가 된다. 여기에 찬 음식이나 음료 등을 먹으면 속은 더 냉해지고 허해진다.
이때 감기까지 걸리면 비장이나 장이 더 약해져 복통과 설사를 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렇게 소화기 질환이 함께 나타나는 여름 감기에는 향부자, 향유, 소엽, 진피 등의 약재가 들어간 이향산(二香散)을 처방한다. 또한 인삼, 맥문동, 오미자가 들어있는 생맥산으로 원기를 증강시키기도 한다. 여름감기로 진행되지 않은 냉방병이라면 냉기를 없애고 적당히 땀이 나게 하는 치료를 기본으로 한다. 몸을 따뜻하게 해주면서 향유차를 먹으면 냉방병 치료와 더불어 예방도 된다. 다만 향유차는 성질이 더운 약재이므로 식혀서 마시는 것이 좋다.
tip 더윗병 예방하는 야외놀이 수칙
1. 뜨거운 한낮 시간대보다 덜 더운 오전 9시~오전 11시, 오후 4~6시 무렵 밖으로 나간다.
2. 30분마다 그늘에서 쉬게 하고 놀이 시간은 2시간을 넘기지 않는다.
3. 더위와 많은 땀으로 인해 탈진, 탈수를 일으킬 수 있다. 수분 섭취에 신경 쓰는데, 갑작스럽게 찬물을 많이 마시기보다 약간 시원한 정도의 물을 수시로 마시게 한다.
4. 챙 있는 모자와 자외선 차단제를 챙기고 민소매, 배꼽티보다는 반소매 옷을 입힌다. 검은색이나 색깔이 짙은 옷보다는 흰색 옷이 좋다.
5. 야외 놀이 후 실내에서 에어컨을 틀 때에는 아이의 땀이 어느 정도 식은 후(보통 30분 후)가 좋다. 샤워 역시 부채 등으로 땀을 식힌 후 미지근한 물로 한다.
도움말 / 아이누리한의원 분당점 이창원 원장
* 자료 제공: 아이누리한의원
<본 기사는 한겨레 의견과 다를 수 있으며, 기업이 제공한 정보기사입니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