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아 자동차 ‘모닝’
|
"가격.품질에 브랜드 이미지까지 3박자 갖춰야"
국산차가 유독 위력을 떨치는 나라가 있다. 한국산 자동차가 최근 해외에서 각광받는 가장 큰 이유는 가격대비 성능이 뛰어나다는 점이지만, 여기서 한 발짝 더 나아가 점유율 1위로까지 올라서기 위해서는 다른 이유가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품질 대비 가격 경쟁력에 더해 브랜드 이미지까지 잘 구축돼야만 1위로 등극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 스포츠마케팅으로 인지도 `쑥' = 9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차는 스페인에서 작년에 모닝(수출명 피칸토)이 1만2천여대가 팔리며 소형차시장 1위를 차지했다. 모닝은 2004년 여름 유럽에 진출한 이래 독일자동차전문지 `아우토빌트'로부터 호평을 받고 소형차로는 드물게 커튼에어백 등 고급옵션을 적용해 점유율을 높였다. 여기까지는 영국과 독일 등 다른 국가에서 수출이 늘어난 것과 비슷하다. 여기서 더 나아가 모닝이 스페인에서 점유율 1위까지 치고 올라간 것은 기아차가 작년 9월부터 스페인 프로축구 프리메라리가의 명문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를 공식 후원하면서 인지도가 크게 높아진 것이 주효했다는 자체 분석이다. 기아차는 2002년부터 호주오픈테니스대회를 후원한 덕에 호주에서 인지도가 높아져 카니발이 2004년부터 2년 연속 미니밴시장 1위를 고수하고 있다. 기아차 관계자는 "경쟁차보다 품질대비 가격 경쟁력이 높은 것은 기본이고 스포츠마케팅을 통해 인지도를 높인 것이 판매 1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 인지도 높은 브랜드 빌린 GM대우 = 2년 연속 `수출왕'에 오른 GM대우 칼로스는 미국시장에서 2년 연속 소형차 판매 1위에 오른 대표적 `수출 효자' 차종. 미국 고속도로 교통안전국(NHTSA)에서 실시한 2004년 소형차 정면 충돌테스트에서 최고점수인 별 5개를 획득한 품질과 함께 GM의 브랜드를 빌리고 방대한 딜러망을 이용한 것이 성공요인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
GM대우 ‘칼로스’
|
|
현대자동차 ‘라비타’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