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 특집] 도로가 신난다
기온이 영하로 뚝 떨어지면 평소 별탈 없던 자동차도 종종 말썽을 일으킨다. 그만큼 겨울을 나는 동안 자동차도 크고 작은 어려움을 겪는 것이다. 행여 아침 출근길에 더운 바람이 나오지 않거나 시동이 걸리지 않으면 운전자도 괴롭기는 마찬가지다. 전문가들은 자동차의 수명이나 상태는 겨울나기를 얼마나 잘 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강조한다. 동절기 안전 운전과 차량 관리 요령을 살펴보자. 엔진 예열 시킨 뒤 출발하고보름에 한번 에어컨 작동을
낡은 타이어 반드시 바꿔야 ■ 시동 걸기=추운날 아침 시동이 금방 걸리지 않는다면 우선 배터리에 이상이 없는지 의심해봐야 한다. 조급한 마음에 연속해서 시동을 거는 것은 배터리에 더 큰 무리를 주기 때문에 2~3분 기다렸다가 다시 시도하는 것이 좋다. 구입한 지 3년이 지난 차라면 배터리 수명이 다했을 수 있기 때문에 교체를 생각해야 한다. 차가 출발한 뒤 시동이 꺼지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엔진이 데워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출발하는 것이 좋다. 시간에 쫓겨 출발을 서둘렀더라도 곧바로 속도를 내는 것보다는 저속 운행을 하면서 차의 상태를 천천히 끌어올려야 한다. 특히 디젤과 엘피지(LPG) 엔진 차량은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디젤 엔진은 시동 걸기 전에 예열을 해야 하고 엘피지 엔진은 시동을 건 뒤 예열을 시켜줘야 한다. 예열 없이 운행하면 가속을 해도 엔진에 힘이 없고 중간에 멈춰설 수도 있다. ■ 부동액 농도=지난 여름에 엔진 과열로 냉각수를 많이 보충했다면 반드시 농도를 점검해봐야 한다. 부동액 비율이 너무 낮아 냉각수가 얼어 붙는다면 엔진과 라디에이터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냉각장치는 24개월마다 완전히 물을 빼고 다시 채워야 한다. 냉각수의 높이, 상태, 농도는 한 달에 한번 정도 주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부동액과 물은 50 대 50의 비율로 섞는 것이 좋다.
|
▶ 쏟아지는 차·차·차 ‘차풍년’일세
▶ 알아서 척척 ‘똑똑해진 애마’
▶ 탐나는 SUV 왜 이렇게 많아~
▶ 새차, 제값 다 주시게요? 더 싸게 사시죠!
▶ ‘뒤태’에 끌렸다…현대 i30 등 젊은층에 인기
▶ 스포츠실용차 승차감 ‘일보전진’
▶ ‘유테크’ 공식은 ‘할인 + 포인트 + 셀프주유’
▶ 할인카드의 진실 ‘안내판 믿지 말라’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