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판매조건을 꼼꼼히 살피면 같은 차를 사더라도 더 저렴하게 살 수 있는 길이 보인다. 현대자동차의 한 영업소에서 고객이 영업사원으로부터 차량에 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 현대자동차 제공
|
[자동차 특집] 도로가 신난다
쏟아지는 신차들과 더 멋지게 변한 2008년형 새 모델들에 군침을 삼키며 새해에는 새 차를 사겠다고 마음먹은 사람들이 적지 않다. 이왕 사는 차, 내 주머니 사정에 꼭 맞는 차량을 더 싸게 산다면 ‘금상첨화’겠다. 어떻게 사는 것이 가장 알뜰하게 차를 사는 것일까. ‘알뜰족의 차 구입 방법’을 따라잡아 보자. 할부로 구입할 땐 신차나 선수금 많이 내는 게 유리짧게 타고 싶거나 수입차 몰고 싶을 땐 ‘리스’ 고려 ■ 신차를 노려라=원하는 차를 가장 저렴하게 사는 방법은 간단하다. 차값을 모두 현금 일시불로 사는 방법이다. 이 경우는 영업사원과 이야기만 잘 되면 영업사원이 자신의 판매 수수료를 고객에게 일부 돌려주는 이른바 ‘영맨 할인’을 받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원래 차값에서도 최소 수십만원씩 저렴하게 살 수도 있다. 하지만 얇은 주머니 사정에 떡하니 차를 일시불로 살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을 듯 하다. 대부분은 일부 선수금을 내고 할부를 하는 경우가 많다. 수입차의 경우라면 리스 프로그램이냐 할부 구입이냐를 선택할 수 있다. 할부는 계산이 복잡하다. 매달 발표되는 각 완성차 업체의 판매조건을 잘 살펴봐야 한다. 특히 눈여겨봐야 할 것은 새 차들이다. 새 차를 살 때는 할부이자를 깎아준다든가 수십만원 이상의 할인이나 내비게이션 증정 등 선물 공세를 펴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현대차 12월 판매조건을 보면 쏘나타 트랜스폼의 할부이자는 보통의 연 7.5% 수준보다 낮은 6.5%다. 쏘나타 구형은 그보다 더 낮아 5.5%다. 정상할부와 저리할부에 차이를 두고 있는 회사도 있다. 지엠대우는 이자율 8.9%의 정상할부와 7.5%의 저리할부로 나눠 할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쌍용차는 선수율이 전체 차값의 10% 이상을 넘으면 무이자 또는 연 3% 정도의 저리할부로 차를 살 수 있다. 또 차값의 절반만 할부로 내고 3년 뒤에 잔액을 한꺼번에 내거나 차량을 반납하는 조건을 내건 곳도 있다. 지엠대우와 쌍용차가 대표적이다. 차를 자주 바꾸거나 싫증을 잘 내는 사람들에게 유리한 방식이다. 각 회사가 계약을 맺은 카드할인도 이용하면 좋다. 현대차는 ‘현대카드 M’으로 결제하는 고객에게 20만~50만원을 깎아 준다. 지엠대우와 르노삼성은 삼성카드와 제휴해 비슷한 조건을 내걸었다. 먼저 할인받고 나중에 사용하면서 카드포인트로 갚아나가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
수입차 회사별 리스 프로그램
|
▶ 쏟아지는 차·차·차 ‘차풍년’일세
▶ 알아서 척척 ‘똑똑해진 애마’
▶ 탐나는 SUV 왜 이렇게 많아~
▶ 새차, 제값 다 주시게요? 더 싸게 사시죠!
▶ ‘뒤태’에 끌렸다…현대 i30 등 젊은층에 인기
▶ 스포츠실용차 승차감 ‘일보전진’
▶ ‘유테크’ 공식은 ‘할인 + 포인트 + 셀프주유’
▶ 할인카드의 진실 ‘안내판 믿지 말라’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