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소하면 경영위기 현대차그룹으로 확산
투자·채용 위축, 감원도 배제 못해” 주장
전문가들 “통상임금 탓은 논리 비약
위기 원인 제대로 짚고 해법 찾아야”
기아자동차 노조가 제기한 ‘통상임금 소송’ 1심 선고를 앞두고 회사 쪽이 연일 여론전을 펼치고 있다. 기아차가 패소하면 경영위기에 빠지고, 이는 현대차그룹의 위기로 번져 산업계 전반에 막대한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논리다.
현대·기아차는 23일 ‘차산업 일자리 초비상, 기아차 통상임금 부담 겹쳐 지속성장 적신호’라는 제목의 참고자료를 내어 “통상임금 부담으로 한국 자동차산업의 지속성장에 빨간불이 켜졌다”고 주장했다. 올해 상반기 7870억원의 영업이익을 낸 기아차는 1심 재판에서 지면 충당금 적립으로 3분기부터 적자전환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또 “소송에서 지면 부품사와 산업계 전반으로 타격이 확산돼 한국 차산업은 물론, 전 산업계의 지속성장 동력이 꺾이고 말 것”이라고 주장했다.
|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