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3.27 19:22 수정 : 2006.03.27 21:23

휴대전화 단말기 보조금 지급이 허용된 27일 오후 서울 용산 전자상가 이동전화 매장에서 고객들이 상담을 하고 있다. 한 휴대전화 매장 종업원은 “보조금 지급에 대한 문의는 많으나 첫날이어서 실제 구매고객은 그리 많지 않다”고 말했다. 장철규 기자 chang21@hani.co.kr

가입비 등 추가지출 꼼꼼히 따져야
앞으로 한달간 보조금 인상 할수도
약관변화·판매현장 움직임 주시를


어느 이통사가 단말기 보조금 많이주나

27일 에스케이텔레콤, 케이티에프, 엘지텔레콤 등 이동통신 3사의 단말기 보조금 약관이 공개됐지만 소비자들이 일정 기간 혼란을 겪는 것은 불가피해 보인다. 보조금 합법화를 기다려온 소비자들은 자신의 가입기간과 사용실적을 토대로 세 회사의 보조금 지급 기준을 비교하는 것은 물론 현재의 요금 할인과 마일리지 혜택 등을 꼼꼼히 고려해야 한다. 이밖에 향후 한달 동안은 이통3사가 보조금 지급 규모를 수시로 바꿀 수 있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보조금 ‘십인십색’=“친구 둘이 똑같은 단말기 모델을 골라도 값은 절대 같지 않아요.” 이동통신 3사가 내놓은 보조금 정책은 한마디로 ‘사람마다 다르다’는 것이다. 이통사들은 가입기간과 사용실적에 따라 12~20개 등급으로 5~21만원의 보조금을 제안한다. 가입기간보다는 사용실적에 대한 가중치가 높은 게 특징이다. 에스케이텔레콤은 사용기간별 격차가 1~2만원 수준이지만, 사용실적별 격차는 2~10만원이다. 케이티에프는 기간별 격차가 0~4만원, 실적별은 1~14만원이다. 또 엘지텔레콤은 기간별 1~3만원, 실적별 2~13만원이다. 사용실적은 기본료, 국내 음성통화료, 데이터통화료를 합산해 6달치 요금의 평균을 적용하며, 국제통화료, 가입비 분납분, 부가서비스료는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보조금 고민은 번호이동 때 3만~5만5천원의 가입비를 지출해야하는 점과 요금 할인 혜택을 생각하면 더 복잡해진다. 2008년 3월26일까지 보조금 기회는 단 한차례인 점을 생각하면 더욱더 신중을 기해야 한다. 신종원 서울기독교청년회 시민중계실장은 “복잡한 보조금 체계로 소비자들의 혼란이 예상된다”며 “2조원을 웃도는 보조금 지출을 메우려는 이통사들이 불필요한 부가서비스로 소비자를 현혹할 수 있다”며 폭넓은 주의를 당부했다.

보조금 전쟁 불붙을까=당분간 보조금 규모에 대한 시장의 반응을 두고 이통사들의 치열한 ‘눈치 작전’이 예상된다. 게다가 다음달 26일까지는 처음 신고된 보조금 액수가 늘어날 수는 있어도 줄어들 수는 없다. 특히 에스케이텔레콤은 경쟁사보다 많은 보조금을 지급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나 케이티에프와 엘지텔레콤의 대응이 주목된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에스케이텔레콤이 기존 가입자의 이탈을 막고 타사 가입자가 번호이동으로 옮겨올 때 가입비 추가지출 부담이 크지 않도록 보조금 체계를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며 “케이티에프와 엘지텔레콤은 후발 사업자인데다가 통화 품질·각종 마일리지 혜택에 대한 시장 이미지도 뒤처지는 측면이 있어 에스케이텔레콤에 맞게 향후 보조금을 인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뿐 아니라 대리점들의 편법 보조금 경쟁이 재발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이통사 관계자는 “이통사들은 대리점 관리 차원에서 최장 5년 동안 일인당 월평균 2천원 정도의 통화 수수료를 지급하기 때문에 이런 재원이 편법 보조금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며 “이통사들의 보조금 약관 변경 움직임과 함께 판매 현장의 움직임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보통신부 통신위원회는 향후 세달 동안 불법 보조금에 대한 집중 단속 방침을 밝히고 있어 보조금 시장을 둘러싸고 쫓고쫓기는 전쟁은 심화될 전망이다. 정세라 윤영미 기자 seraj@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