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마철 차 관리 ‘유비무환’ |
장마철은 차량 관리에도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할 때다. 특히 한꺼번에 큰 비가 내려 차량이 물에 잠길 경우 치명적인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만큼 사전에 적절한 대처 요령을 숙지하고 있는 것이 좋다.
■ 앞 유리 점검부터=와이퍼를 작동하면 ‘뿌드득’ 하는 기분 나쁜 마찰음이 날 때가 있다. 이는 브러시의 불량 문제보다는 앞 유리에 눌어붙은 배출가스로 생긴 소음일 경우가 많다. 이럴 때는 스펀지에 세제를 묻혀 두세 번 정도 닦아주면 효과를 볼 수 있다. 장맛비가 올 때는 앞이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가 여간 불편한 게 아니다. 이 때를 대비해 워셔액의 양을 점검하고 뿜어져나오는 방향을 미리 조절해 놓아야 한다.
■ 배터리 점검도 필수=장마철은 와이퍼의 잦은 작동, 전조등 사용, 에어컨 사용 등으로 배터리의 소모가 많다. 미리 배터리의 양을 점검해 방전되는 것을 미리 막는 것이 좋다.
■ 타이어 공기압 높여야=빗길 운전이 많은 장마철에는 평소보다 타이어 공기압을 10% 이내에서 높여줘야 한다. 비가 오면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계수가 떨어져 자동차의 제동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이다. 타이어 마모상태도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 마모가 심한 타이어는 수막 현상이 쉽게 발생한다.
■ 침수차량 시동은 금물=차량이 물에 잠겼을 때는 시동을 걸지 말고 가급적 빨리 끌어내 서비스 센터로 견인해야 한다. 침수 상태로 방치하면 차량의 주요 부품인 엔진이나 변속기에 물이 스며들어 심각한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침수 상태에서의 시동은 전기장치 합선 등으로 고장원인이 되기도 한다.
홍대선 기자, 도움말 이광표 현대차 고객서비스팀 차장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