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장상인들 합정동 홈플러스 입점 반대 삭발=서울 마포구 망원월드컵시장 상인들과 ‘중소상인 살리기 전국네트워크’ 활동가들이 19일 오후 홈플러스 신규 입점 예정지인 합정동의 메세나폴리스 앞에서 입점 반대 집회를 마친 뒤 삭발을 하고 있다. 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
정치권 의무휴업 등 법제화 의지
하나로마트 예외도 삭제 추진 정부 “규제 강화 안되도록 최선”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SSM)의 영업시간 제한과 의무휴업일 지정을 둘러싼 공방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대형 유통업체의 영업규제를 강화하려는 정치권의 움직임에 정부가 제동을 걸고 나섰기 때문이다. 정치권이 더욱 강력한 규제법안을 예고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경기 활성화를 명분으로 대형 유통업체 쪽의 손을 들어준 것으로 해석돼 논란이 예상된다. ■ 정부 “영업규제 강화되지 않도록 최선” 정부는 지난 17일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관계부처 합동 경제활력대책회의를 열어 ‘대형마트 영업규제 합리화’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대형마트 영업시간 제한과 의무휴업일 지정으로 인해 (대형마트에 상품을 납품하는) 농민과 납품업체, 마트 입점 소상공인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영업규제가 더 강화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의무휴업일을 현재 월 2일에서 4일로 확대하고 영업제한 시간을 더 늘리는 내용이 담긴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이 9월 정기국회에서 통과되지 않도록 정부가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뜻이다. 정부는 영업규제 강화에 반대하는 논리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현재 외부 조사기관을 통해 대형마트 영업규제가 소비자와 전통시장, 농민, 납품업체 등에 끼친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을 진행중이다. 박동일 지식경제부 유통물류과장은 “영업규제를 강화하기 위해 발의된 법안 수가 빠르게 늘고 있다”며 “법안의 목적이 전통시장 활성화인데, 실제로 얼마나 실효성이 있었는지 확인해 합리적인 논의를 하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중소상인들은 정부가 내수 활성화 등을 명분으로 내세워 대형마트에 대한 규제를 무력화하려는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골목상권살리기소비자연맹 관계자는 “대형마트가 한달에 2번 의무휴업을 하면서 전통시장과 자영업자의 매출이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였는데, 정부가 이런 식으로 나오다니 어이가 없다”며 “정부가 이미 답을 정해 놓고 결국 규제 완화 방향으로 가는 게 아닌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