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센 총리는 11일 외신기자회견을 통해 캄보디아 외환수입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자국산 섬유류 수출에 대한 국제사회의 특혜쿼터가 올해부터 철폐되면서 야기된외국투자자본의 철수 움직임과 이에 따른 실업률 증가 등 경제난을 극복하기 위해일련의 경제개혁 조치를 발표했다.
그는 경제난 극복과 성장을 위해 무엇보다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 확대와인근국들에 대한 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고 지적하면서, 이를 위해 △전기와 통신망확충 △불필요한 인허가 등 행정간섭 축소 △부정부패를 조장하는 '준조세' 철폐 등을 과감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훈센이 밝힌 일련의 개혁조치는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 미국, 일본, 프랑스 등 캄보디아에 원조를 제공해온 20여개국들이 그동안 줄기차게 강조해온부정부패 척결 요구를 받아들인 것이라고 현지 외교 소식통들은 전했다.
세계은행의 동아시아. 태평양 담당 수석연구원인 호이 카라라스는 훈센의 이번개혁선언을 긍정평가하면서도 베트남, 태국 등 인근국들과 경쟁을 하기 위해서는보다 빠른 움직임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앞서 이들 국제기구들과 공여국들은 작년 말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에서 열린 회의를 통해 오랜 내전으로 황폐화된 캄보디아의 부정부패 문제가 생존을 위협하는 또다른 위협요소라고 강조한 뒤, 부정부패 근절 노력과 관련사범을 처벌할 수 있는 관련법 제정을 촉구했다.
이 회의에서 미국대표단의 수석대표인 찰스 레이 캄보디아 주재 대사는 "부패가캄보디아의 정치, 경제, 사회발전을 저해하는 암적 존재로 등장했다는 지적은 결코과장된 것이 아니다"면서 캄보디아 정부가 부정부패를 척결하지 못할 경우 심각한상황에 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이본 르외 달베르 프랑스 대사도 "캄보디아의 후진성은 발전을 저해하는 부담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한 뒤 "부정부패를 시급히 해결하지 않고서는 빈곤퇴치가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캄보디아에 대한 외국의 원조는 지난 1995년부터 19998년까지는 연간 7억5천만∼8억 달러 규모였으나 지난 2003년에는 2억5천100만 달러로 급감했다.
(하노이/연합뉴스)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