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중개사들 “경·공매 단순한 대리행위일뿐” 한 법사위원은 “공인중개사들한테 경·공매 대리 업무를 주는 것이 변호사나 법무사의 영역을 침해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 법률가들이 대부분인 여·야당 법사위원들이 대체로 반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부동산 업무 자체가 일종의 브로커성이 많아 약간의 통제가 필요하는 주장도 나와 법적인 판단에 부담이 많다”고 전했다. 대한변호사회도 국회에 의견서를 보내 “고도의 법률지식과 경험 및 판단능력을 필요로 하는 법률사무 취급 권한을 법률전문가라고 할 수 없는 부동산중개업자에게 부여하는 것은 잘못”이라며 “부동산중개업자가 경·공매 대리업무를 할 경우 반드시 법률전문가인 변호사의 자문을 받아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법무사회 관계자도 “법률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한 공인중개사들이 경매, 공매에 나서면 많은 국민들이 피해를 볼 것이 뻔해 반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공인중개사들은 “경·공매는 고도의 법률 행위가 아닌 단순한 대리 행위”라며 “공인중개사들의 참여는 선의의 경쟁을 유도해 선택의 폭을 넓혀줄 것”이라고 반박한다. 이들은 특히 “변호사·법무사보다 시장 가격에 밝아 오히려 피해를 더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법사위는 이견이 좁혀지지 않을 경우 공청회를 열어 절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건설교통부 관계자는 “오는 4월 임시국회 때까지 법안이 처리되면 내년 1월 시행에는 무리가 없다”고 말했다. 이 법률은 부동산 거래당사자가 계약일로부터 30일 안에 거래계약 내용을 사실대로 시·군·구 등 행정기관에 의무적으로 신고하도록 하고 있다. 허종식 황준범 기자 jongs@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