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그러나 "환투기 등 비정상적인 현상에 대해서는 정책적인 측면에서 그대로두기 어렵다"면서 "이럴 경우 우리가 갖고 있는 수단과 한국은행과의 협력을 통한스무딩오퍼레이션(미세조정)은 필요하지 않겠느냐"라고 부연했다. 한 부총리는 아울러 "재경부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팀제 운영 등을 통해정책의 품질관리 시스템을 과감하게 도입하겠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
한덕수 부총리 “개방에 따른 사회마찰 최소화할 것” |
환율, 시장에서 결정하되 필요하면 개입
한덕수 신임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15일"선진 개방국가를 지향하되 이에 따른 사회마찰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참여정부가 지난 2년간 국가의 나아갈 방향을 잡은만큼 새 경제수장으로서 이를 고치는 것보다는 일관성을 유지해 경제전체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것이중요하다며 '색깔없는 경제부총리'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한 부총리는 이날 과천 정부종합청사에서 열린 취임식 후 브리핑실을 찾은 자리에서 과거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 시절의 '개방 우선론'에 대한 질문에 "대통령께서도 선진 개방국가를 지향하겠다는 의지를 밝혔고 이미 이는 체계적으로 정리돼있는 사안"이라며 기존의 원칙적인 입장을 고수했다.
그는 다만 "개방의 과정에서 소외계층이 나올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배려와 보호가 필요하다"며 "이들을 사회로부터 배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재경부의 중요한 역할이고 이런 기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사회적 통합을 깨뜨릴 정도의 개방은 성공할 수 없다"며 "앞으로는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선진 개방국가로의 여정을 계속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한 부총리는 정책일관성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색깔이 좀 없어야 할 것 같다"며 "이헌재 전 부총리를 비롯한 재경부 직원들이 추진한 과제들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급락하고 있는 환율에 대해 한 부총리는 "일도양단(一刀兩斷)으로 말하기어려운 문제"라고 전제한뒤 "원론적으로 환율은 외환수급과 경제 펀더멘틀에 따라시장에서 결정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나 "환투기 등 비정상적인 현상에 대해서는 정책적인 측면에서 그대로두기 어렵다"면서 "이럴 경우 우리가 갖고 있는 수단과 한국은행과의 협력을 통한스무딩오퍼레이션(미세조정)은 필요하지 않겠느냐"라고 부연했다. 한 부총리는 아울러 "재경부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팀제 운영 등을 통해정책의 품질관리 시스템을 과감하게 도입하겠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그는 그러나 "환투기 등 비정상적인 현상에 대해서는 정책적인 측면에서 그대로두기 어렵다"면서 "이럴 경우 우리가 갖고 있는 수단과 한국은행과의 협력을 통한스무딩오퍼레이션(미세조정)은 필요하지 않겠느냐"라고 부연했다. 한 부총리는 아울러 "재경부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팀제 운영 등을 통해정책의 품질관리 시스템을 과감하게 도입하겠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