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모토로라는 부사장급인 다양성관리 담당중역을 만들어 여성, 동성애자, 흑인등 사내 소수그룹 관련 업무를 전담시키고 있으며 존슨앤존슨은 `다양성대학'이라는사이버대학을 설립, 직원들에게 글로벌 이슈에 대한 훈련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연구소는 다양성 관리를 통해 기업의 브랜드가치를 높이고 우수인재의 유입을촉진할 수 있도록 차이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존중할 줄 아는 품성과 매너를 기업문화로 정착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
국내기업 인력 다양성 관리 초보 수준 |
국내 기업들은 최근 경제활동이 늘고 있는 여성,장애인, 외국인 등 다양한 인력들을 특성에 맞게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다양성 관리가 초보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경제연구소는 16일 발표한 `인력다양성 확대와 기업의 대응' 보고서에서 작년 국내 177개 기업 인사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다양성 관리를 실시하고있는 기업은 19.8%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또 향후 다양성 관리를 도입할 예정인 기업은 39.5%였고 다양성 관리를 도입할 계획이 없다는 기업도 35.6%에 달했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그러나 최근 기업에 여성과 외국인, 장애인 등의 비율이 크게 늘고 있어 이들의 특성을 반영한 인사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국내는 작년 여성전문관리직 비율이 17.3%로 10년전인 1994년의 10.7%에 비해 6.6%포인트 높아졌고 경제활동인구중 외국인 비율은 1.78%로 10년전 0.40%에 비해 4배이상 높아졌다고 연구소는 밝혔다.
또 장애인 고용비율은 작년 1.08%로 1994년의 0.43%의 2.5배 수준이 됐다.
외국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의 경우 1988~1998년중 외국인 근로자수는 평균 28.0% 늘었고 미국 실리콘밸리에 소재한 벤처기업 사주의 외국인 비율이 25.0%에 달하는 등 노동력 다양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다국적기업인 IBM은 다양성을 존중하는 의식을 사내에 전파함은 물론승진, 복리후생, 작업환경, 교육훈련 등에서 차별을 없애고 다양한 인력이 일하기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태스크포스를 출범시키기도 했다고 연구소는 소개했다.
또 모토로라는 부사장급인 다양성관리 담당중역을 만들어 여성, 동성애자, 흑인등 사내 소수그룹 관련 업무를 전담시키고 있으며 존슨앤존슨은 `다양성대학'이라는사이버대학을 설립, 직원들에게 글로벌 이슈에 대한 훈련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연구소는 다양성 관리를 통해 기업의 브랜드가치를 높이고 우수인재의 유입을촉진할 수 있도록 차이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존중할 줄 아는 품성과 매너를 기업문화로 정착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또 모토로라는 부사장급인 다양성관리 담당중역을 만들어 여성, 동성애자, 흑인등 사내 소수그룹 관련 업무를 전담시키고 있으며 존슨앤존슨은 `다양성대학'이라는사이버대학을 설립, 직원들에게 글로벌 이슈에 대한 훈련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연구소는 다양성 관리를 통해 기업의 브랜드가치를 높이고 우수인재의 유입을촉진할 수 있도록 차이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존중할 줄 아는 품성과 매너를 기업문화로 정착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