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3.18 13:38 수정 : 2005.03.18 13:38

재계는 민주노총이 비정규직 문제와 관련, 노사정 대화에 `복귀'하기로 한데 대해 환영하고 나섰다.

그러나 재계는 민주노총이 4월1일 경고파업 강행 입장을 재확인한 것과 관련,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18일 논평을 내고 "경영계는 민주노총이 노사정 대표자회의에 다시 참여키로 결정한데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경총은 "민주노총이 이같은 결정을 내린 이상 노사정 대표자회의의 구성목적인노사정위 개편방안과 노사관계 법.제도 선진화 방안 처리방향에 대한 논의에 책임있는 자세로 임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경총은 이어 "민주노총이 이번 결정을 비정규직 관련 입법을 지연시키거나 노동계 총력 투쟁 전개를 위한 수단으로 악용해서는 안된다"고 못박았다.

민주노총은 이날 오전 11시 기자회견을 갖고 `비정규직 권리보장을 위한 노사정대화에 나서겠다'고 밝혔으나 파업과 관련해서는 `4월1일 4시간 경고파업은 예정대로 전개하고 내달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법안심사소위에서 비정규직법안을 강행처리할 경우는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가겠다'며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재계 관계자는 "노동계가 4월1일 총파업을 무기로 국회, 정부를 압박하는 태도는 결코 용납할 수 없다"며 "노동계는 이번 노사정 대화 채널 참여를 통해 무엇이진정한 비정규직 근로자 보호 방안인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원만한 해결을 위해 적극 협조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재계 관계자는 "민주노총의 노사정 회의 참여를 계기로 노사정간 화해와 대화의 무드가 본격 조성, 노사관계 로드맵 등 남은 현안도 순조롭게 해결될 수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임단협 등 올해 노사관계에 있어서도 긍정적으로 작용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전했다.

앞서 경제5단체장은 지난 10일 회동을 갖고 비정규직 관련 법안의 4월 국회통과를 촉구하며 노동계의 총파업 방침에 대해 우려를 나타낸 바 있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