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용창출 효과도 적어 “산업간 연계 강화해야” ■ 불안한 성장=정보기술분야 수출 품목들은 워낙 제품 순환주기가 짧고, 경기에도 민감한 품목들이 많아 안정적인 고성장을 유지하기에 어려움이 많다. 특히 최근엔 휴대전화 등 각 수출주력 품목들이 중국의 도전으로 수출 단가가 계속 떨어지고 있다.
또 이를 만회하기 위해 신제품을 개발하고 있지만, 원천기술이 없어 오히려 핵심부품 수입비용만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이미 반도체,디스플레이, 휴대전화 등 5대 정보기술 산업은 부품소재 수입의존도가 65%에 이른다. 지난 2001년 103억달러였던 대일 무역수지 적자는 지난해 200억달러를 넘었다. 이런 구조 탓에 정보기술 업종의 수입유발계수(제품 1개를 생산하는 데 들어간 수입 중간재 비율)는 0.47~0.55로 일본(0.13)의 4배에 이른다. 또 기술집약 산업인 정보기술 분야는 고용 창출 효과가 낮다. 한국은행 조사를 보면, 10억원 어치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인력이 비정보기술 분야는 8.4명이나, 정보기술 분야는 3.6명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일부 외국 언론은 정보기술 강국인 한국에 대해 몸집은 커졌지만 허술하고 거대한 ‘레고 장난감’ 같은 조립산업으로 돈을 번다는 비아냥을 쏟아내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양적인 성장에 만족할 게 아니라, ‘수출증가→투자증가→고용확대→소비촉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국내 산업간 연관관계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김현정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박사는 “국내 부품소재산업 3만여개 기업 중 99%가 중소업체로 대기업에 대한 의존도가 절대적이다”며 “대·중소기업의 거래관계 정상화는 한국경제를 저성장의 함정에서 구해내는 출발점일 것”이라고 말했다. 함석진 기자 sjham@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