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형마트가 재고손실 떠넘기는 방법
|
“업체별 최고 2천만원”…대형마트 횡포 여전 한 주방용품업체 관계자는 “킴스클럽 강남점에 매달 몇백만원어치를 납품하는 우리 회사의 경우 납품금액의 절반이 넘는 300만원 이상의 재고 손실금 부담을 요구받았다”며 “킴스클럽 쪽이 노조 파업 때문에 상품 관리가 잘 안 돼서 재고 손실이 크다며 납품업체들에 재고 손실을 다 부담시키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대기업 식품업체 관계자도 “킴스클럽 강남점으로부터 1천만원에 가까운 재고 손실금액을 부담하라는 요구를 받았다”며 “부담해야 할 금액이 너무 커서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고민”이라고 털어놓았다. 이 관계자는 “다른 식품업체들도 업체별로 적게는 200만~300만원에서 많게는 2천만원까지 재고 손실금액을 부담하라는 요구를 받은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심지어 와인업체들은 와인뿐 아니라 맥주·소주에서 생긴 재고 손실분까지 부담해야 할 상황이다. 한 와인업체 관계자는 “힘이 센 맥주와 소주업체들에게는 재고 손실이 생겨도 손실 보전을 요청하지 못하고 대신 힘없는 중소 와인업체들에 맥주·소주 손실금까지 떠넘긴다”며 “이번에도 업체별로 50만~150만원 가량의 재고 손실금액을 요구받았다”고 말했다. 대형마트업체들은 통상 일 년에 한두 번씩 재고 조사를 한다. 조사에서 전산상 재고가 10개인데 실제 재고가 5개라면, 대형마트들은 우선 전산으로는 5개를 납품업체에 반품한 것으로 처리해 전산상 재고과 실제 재고의 차이를 제거한다. 그 뒤 월말에 납품대금을 결제할 때 납품금액에서 5개의 반품금액을 뺀 나머지 금액만 결제해주는 식으로 재고 손실을 납품업체에 떠넘긴다. 또는 전산상 재고에 실제 재고를 맞추기 위해 모자라는 상품 갯수만큼 납품업체에게서 공짜로 물건을 납품받기도 한다. 재고 손실을 일방적으로 납품업체에 떠넘기는 행위는 불공정행위로 공정거래위원회의 처벌을 받게 된다. 이에 대해 킴스클럽을 운영하는 이랜드그룹 쪽은 “직매입 상품의 경우 재고 손실 발생은 그 발생 사유가 어떻든 전적으로 유통업체가 책임져야 한다”며 “재고 손실이 생긴 상품을 협력업체에 요구한 사례가 있다면 철저히 조사해 협력업체에 피해를 주는 일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윤영미 기자 youngmi@hani.co.kr [한겨레 관련기사]
▶ “타업체들, 이마트 피엘 납품 안타까워”
▶ 대형유통업체 ‘횡포’ 제동 걸리나
▶ 툭하면 ‘납품값 인하 강요’ 현대·기아차 16억 과징금
▶ 대형마트 ‘PL 가격파괴’…납품업체 반발 확산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