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가 재건축 규제를 완화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20일 서울 강남 지역의 일부 재건축단지에서 매물이 회수되고 호가가 오르고 있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
이명박 당선자쪽, 참여정부 정책 큰틀에서 ‘유지’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자 강남의 일부 재건축 단지 아파트 호가가 하룻만에 1천만~2천만원 뛰었다. 부동산 시장 안정 대책들이 대폭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다. 하지만 이명박 당선자 쪽의 얘기를 들어보면, 새 정부가 들어서도 참여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큰 틀에서는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또 일부 대책들이 완화되더라도 세계적인 부동산 경기 침체와 고금리 추세를 고려할 때 집 값 상승은 한계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 재건축 완화는 막연한 기대=서울 송파구의 대표적 재건축 아파트인 잠실 주공 5단지를 주로 취급하는 송파공인중개의 최명섭 공인중개사는 20일 “지난 18일만 해도 매물이 9개 있었는데, 대선이 끝나자 집 주인들이 추후 가격 상승 기대감으로 매물을 회수해 4개만 남았다. 남아 있는 매물도 호가가 1천만~2천만원 올랐다”고 말했다. 내집마련정보사의 양지영 팀장은 “강남구 개포동 주공1단지도 실제 거래는 없지만 호가는 대선 뒤 하룻만에 1천만~2천만원 올랐다”고 말했다. 하지만 재건축·재개발 규제가 그렇게 쉽게 풀리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선거운동 기간 이명박 후보 진영에서 부동산 정책을 담당했던 최현정 전문위원은 “강남 재건축 문제는 부작용 때문에 캠프 내부에서도 논란이 많았다. 강북 지역의 노후한 도심부터 재개발을 시작한 뒤 성공 여부를 보고 나중에 다루기로 정리했다”고 밝혔다.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의 박원갑 소장도 “재건축 규제 완화는 전체 부동산 시장에 끼치는 영향이 커, 정책 의지가 있어도 시장 안정이 전제돼야만 시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대신 뉴타운 같은 강북 위주의 재개발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대출 규제 완화도 쉽지 않아=이날 한 부동산정보업체는 “이명박 당선자가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주택 관련 대출 규제를 탄력 조정하겠다고 밝힌 만큼 매수세 회복을 통한 주택 거래 증가가 예상된다”는 자료를 냈다. 그러나 최현정 전문위원은 “대출 규제 완화 방침을 밝힌 적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삼성경제연구소의 박재룡 연구원은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의 여파로 국내 금융 시장 역시 불안한 상황에서 정부가 대출 규제를 풀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밝혔다.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장도 “지난해까지는 은행들의 연체율이 낮았고 자금도 풍부했지만 지금은 은행이 빌려줄 돈이 부족해 대출 규제가 풀린다 해도 주택 대출이 늘어나기 어렵다. 또 은행 부실이 커질 위험이 크기 때문에 새 정부가 출범하더라도 대출 규제를 풀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새 정부도 재건축엔 신중…대출 여건도 나빠져
규제완화 섣부른 기대감에 일부지역 호가 껑충
세제완화는 내년 봄 총선 결과에 영향 받을 듯
행정중심 복합도시·혁신도시 예정대로 추진계획
|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의 부동산 정책
|
▶“특검 무혐의땐 책임져야”-이 당선자 첫날부터 ‘압박’
▶이명박 380억-정동영 385억-이회창 100억…얼마나 돌려받나?
▶한나라-청와대 특검 갈등 “물러갈 대통령이…”-“대통령 당선 됐다고…”
▶대박 난 ‘이명박 파란 목도리’
▶미일 반응 ‘보수정부’ 환영…북핵 공조 기대감
▶통합신당 “총선때 개헌저지선 확보도 실패할수 있다” 위기감
▶민노당, “국민들 등돌렸다” 자성 분위기
▶민주당 아득 “호남·충청서도 6위라니…”
▶‘끝내 눈시울’ 이회창, 신당 창당 서둘러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