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상하이 푸둥 지역의 대형 쇼핑몰인 정다플라자 매장이 2007년 마지막 주말인 지난달 30일 오후 쇼핑하러 나온 사람들로 북적이고 있다. 상하이/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
6년새 소비규모 2배↑…후진타오 ‘배분 정책’도 뒷받침
꾸준한 증가세 이어질듯…미 소비부진 보완·파급력 주목
진단! 차이나 리스크 /
③ 기지개 켜는 소비시장
지난달 말 중국 베이징 중심 창안(장안)거리 동편 쇼핑가에 자리잡은 싸이터백화점은 쇼핑을 하러 나온 사람들로 북적였다. 이 백화점은 지난달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6일 동안 1억3천만위안(약 166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하루 매출액이 평소의 여섯 배를 넘어섰다. 천잉류 싸이터그룹 부총경리(부사장)는 “크리스마스 시즌 때 외국 장난감 등 수입품들이 불티나게 팔려나갔다”며 “올 한해에만 300만위안(약 3억8천만원)이 넘는 벤틀리가 86대나 팔렸다”고 말했다.
베이징 시내에서 만난 외국계 기업 직원 리우춘(29)은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엄두도 못 냈던 자동차를 올해 살 계획이라고 했다. 그는 “2년 전 만 해도 중고차 시장에 가면 10년 이상 된 오래된 차 뿐이었으나, 요즘엔 1~2년밖에 안 된 차들이 오히려 더 많다”고 말했다.
‘세계의 공장’인 중국이 ‘세계의 소비시장’으로도 발돋움하고 있다. 중국의 소비시장 규모는 2006년 7조6천억위안으로 2000년에 견줘 두 배 이상 증가했다. 5년 연속 10%가 넘는 경제성장에 힘입어 중국인들의 지갑이 두둑해졌기 때문이다. 소비 패턴도 식료품에서 통신·문화오락 위주로 재편 중이다. 일부에선 이런 소비 증가 현상에 대해 주식과 부동산 등 자산가격이 급등하면서 소비도 증가하는 이른바 ‘자산효과’가 중국에서도 나타난 것이라며, 자산가격이 하락하면 소비도 급속히 위축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는다.
하지만 중국의 소비는 앞으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일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경제성장이 탄력을 받으면서 소득이 늘고 있는데다 인구구조도 소비를 많이 하는 연령대 중심으로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실질임금은 2000년 이후 해마다 10% 이상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1인당 소비지출의 증가율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보통 선진국들은 베이비붐 세대가 30~50대 연령대로 진입하는 시점에 소비가 가장 많이 늘어났다. 앞으로 10년 동안 중국 인구(약 13억명)에서 30~50대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42% 이상일 것으로 예상된다.
|
진단! 차이나 리스크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