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1.23 20:51 수정 : 2008.01.23 20:51

김용덕 금융감독위원장 겸 금융감독원장

김용덕 원장 “비대위 해체·새협의체 구성” 지시
금감원 노조는 이 당선인에 탄원서 제출 ‘버티기’

김용덕 금융감독위원장 겸 금융감독원장(사진)이 최근 조직개편과 관련해 금융감독위원회와 금융감독원간에 고조된 갈등 양상을 수습하기 위해 직접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김 위원장은 23일 오전 간부회의를 소집한 뒤 금감원의 비상대책위원회 해체와 함께 조직개편 방안 마련을 위해 금감위 고위간부 3명과 금감원 고위간부 3명으로 구성된 협의체 구성을 지시했다고 홍영만 금감위 홍보관리관이 전했다. 홍 관리관은 “비대위가 스스로 해체하지 않으면 위원장 직권으로 관련자들을 직위 해제 등 징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조직의 수장이 해체를 공식 지시한 상황이어서 향후 비대위의 공개 활동은 사실상 불가능해진 상태다. 비대위 관계자는 “비대위의 거취를 두고 심사숙고하고 있다”며 “임직원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방침을 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금감원 내부에서는 김 위원장의 지시를 쉽게 수긍할 수 없다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김 위원장이 구성을 지시한 고위 간부 협의체에서 금감원이 만족할 만한 합의안이 나오기 힘들 것으로 전망된 탓이다. 이름을 밝히지 말 것을 요청한 금감원의 한 간부는 “이미 금융위원회 설치법안이 국회에 제출된 상황이기 때문에 협의체 논의도 지지부진해지기 쉽다”며 “협의체 구성으로 될 일이었다면 사태가 이 지경까지 오지도 않았을 것”이라고 반발했다.

한편, 노조는 이날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에게 금감원 쪽의 주장을 담은 탄원서를 전달했다. 또 24일에는 민주노총 사무금융연맹과 함께 국회 앞에서 궐기대회를 열 예정이다. 최용일 노조 부위원장은 “비대위 해체 여부와 상관없이 노조는 노조로서의 구실을 다할 것”이라고 말해, 금감위와 금감원의 갈등 양상은 쉽게 봉합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금감원 비대위는 지난 16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재정경제부의 금융정책국과 현 금감위 통합을 뼈대로 하는 금융위원회 설치방안을 발표한 직후 곧바로 구성된 뒤 금감원 기능 축소와 관치 폐해 등을 주장하는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금감위와 갈등을 빚어왔다.

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