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환율을 관리하는 중국인민은행(왼쪽). 지난 2일 중국 베이징 시단지역 의류 상가 안에 입주해 있는 한 현지 은행의 환율 전광판을 베이징 시민들이 쳐다보고 있다.
베이징/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
달러대비 위안화 가치 1년새 6.5% 껑충
‘경기과열·인플레 잡기’ 평가절상 잰걸음
진단! 차이나 리스크 /
⑦ 위안화절상 적극 나서는 중국
중국 베이징에 나가있는 산업은행 직원들은 지난해 9월부터 이전에 달러 기준으로 받던 월급을 위안화 기준으로 받기 시작했다. 강봉구 차장은 “달러값이 뚝뚝 떨어지면서 월급을 받으면 앉은 자리에서 몇 만원씩 손해가 났다”고 말했다. 지난 4일 베이징 금융가에 위치한 베이징은행 본점에서 만난 외환딜러 리샹(31)은 “개인이나 기업 모두 달러가 생기는 즉시 팔려고 한다”며 “달러를 가지고 있으려는 데가 없다”고 말했다.
위안화의 절상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물가상승과 무역흑자로 인한 과잉 유동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중국 당국이 위안화 절상에 박차를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속도가 더 빨라져 7% 이상 절상될 것으로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지난 한 해 동안 위안화 가치는 달러 대비 6.5%나 올랐다. 2005~2006년의 연간 절상률은 3% 전후였다. 특히 지난해 10월 이후 절상 속도가 더 빨라져 11월 0.93%, 12월 1.29%, 올해 1월(25일까지) 1.34%로 가속도가 붙고 있다. 지난 28일에는 중국 인민은행 고시 위안화 기준환율이 달러당 7.1006위안으로 사상 최초로 7.2위안 아래로 내려갔다. 중국이 변동환율제를 도입한 2005년 7월22일 8.11위안으로 출발한 이후 11% 정도 절상된 셈이다.
중국은 해마다 엄청난 무역흑자를 보고 있기 때문에 항상 달러를 위안화로 바꾸려는 수요가 외환시장에 넘쳐난다. 만약 인민은행이 개입해 달러를 사들이지 않으면 위안화 가치는 단숨에 뛰어오르게 되고 수출기업은 가격경쟁력이 떨어져 타격을 받게 된다. 인민은행은 이런 위험을 막고자 막대한 돈을 쏟아부어 환율을 당국이 생각하는 적정 수준에서 조절하고 있다. ‘능동적으로, 통제가능한 범위에서, 점진적으로 진행한다’는 것이 중국 당국의 위안화 절상 3대 원칙이다.
|
중국 외환보유액 추이 / 중국 위안화 환율 추이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