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감실업률이 하락한 것은 공식 실업률이 3.5%에서 3.2%로 하락했기 때문으로 단시간 근로자의 고용여건은 그다지 개선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한편 지역별로 보면 지난해 전국 16개 광역자치구역 가운데 경제적 고통이 가장 높았던 도시는 서울(11.0)이었고, 광주(10.8)와 대전(10.5)이 뒤를 이었다. 서울지역의 경제적 고통이 높게 나타난 이유는 체감실업률이 2003년 이후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데다 생활물가 상승률도 전국평균을 웃돌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반면 전남(7.6)과 경북(7.8), 제주(8.6), 강원(8.7) 등은 상대적으로 생활경제 고통지수가 낮았다. 배민근 선임연구원은 "올해 우리 경제는 내수가 완만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지만 세계경제 둔화와 원화 강세로 인해 수출증가세가 주춤하면서 경제성장률이 작년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고유가, 중국발 인플레이션 등 대외여건으로 인한 물가불안에 더해 서브프라임 사태에 따른 수출감소가 기업실적과 소득기반을 잠식해 내수위축으로까지 확산된다면 지금은 안정적 흐름을 보이고 있는 고용사정마저 악화될 수 있다"면서 "만약 이렇게 된다면 올해 생활경제 고통지수가 작년에 비해 한층 높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서울=연합뉴스)
|
“생활경제 고통지수 작년 10월부터 급상승” |
실제 생활에서 느끼는 경제적 고통이 작년 10월부터 급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생활물가 상승률과 체감실업률을 더해서 구하는 생활경제 고통지수는 지난해 10월 9.9에서 11월 10.8, 12월 11.0으로 급등하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 9.4를 기록했던 생활경제 고통지수는 3분기에는 이보다 낮은 9.2를 기록했으나 10월 이후 급등세를 보이고 있는 것.
생활경제 고통지수는 신용카드 사태 이후 급격한 내수 불황을 겪었던 2004년 11.6을 정점으로 2005년 11.0, 2006년 9.8 등으로 안정적인 하락세를 보이다가 최근 들어 다시 상승하고 있다.
연구원은 생활경제고통지수가 상승하는 이유로 생활물가의 불안을 들었다. 생활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월에는 1.9%, 상반기까지만 해도 3% 중반을 밑돌면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지만 10월부터 급등하기 시작해 연말에는 5%에 근접하는 수준으로까지 치솟았다.
이는 석유나 곡물 등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품목의 가격이 전 세계적으로 가파르게 올랐기 때문이다.
반면 지난해 체감실업률은 6.5%로 2006년의 6.7%에 비해 소폭 하락해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나타냈다.
체감실업률이란 주당 근로시간 17시간 이하의 단시간 근로자를 실업자로 보고 기존 공식 실업자 수에 포함시켜 계산한 실업률이다.
체감실업률이 하락한 것은 공식 실업률이 3.5%에서 3.2%로 하락했기 때문으로 단시간 근로자의 고용여건은 그다지 개선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한편 지역별로 보면 지난해 전국 16개 광역자치구역 가운데 경제적 고통이 가장 높았던 도시는 서울(11.0)이었고, 광주(10.8)와 대전(10.5)이 뒤를 이었다. 서울지역의 경제적 고통이 높게 나타난 이유는 체감실업률이 2003년 이후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데다 생활물가 상승률도 전국평균을 웃돌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반면 전남(7.6)과 경북(7.8), 제주(8.6), 강원(8.7) 등은 상대적으로 생활경제 고통지수가 낮았다. 배민근 선임연구원은 "올해 우리 경제는 내수가 완만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지만 세계경제 둔화와 원화 강세로 인해 수출증가세가 주춤하면서 경제성장률이 작년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고유가, 중국발 인플레이션 등 대외여건으로 인한 물가불안에 더해 서브프라임 사태에 따른 수출감소가 기업실적과 소득기반을 잠식해 내수위축으로까지 확산된다면 지금은 안정적 흐름을 보이고 있는 고용사정마저 악화될 수 있다"면서 "만약 이렇게 된다면 올해 생활경제 고통지수가 작년에 비해 한층 높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서울=연합뉴스)
체감실업률이 하락한 것은 공식 실업률이 3.5%에서 3.2%로 하락했기 때문으로 단시간 근로자의 고용여건은 그다지 개선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한편 지역별로 보면 지난해 전국 16개 광역자치구역 가운데 경제적 고통이 가장 높았던 도시는 서울(11.0)이었고, 광주(10.8)와 대전(10.5)이 뒤를 이었다. 서울지역의 경제적 고통이 높게 나타난 이유는 체감실업률이 2003년 이후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데다 생활물가 상승률도 전국평균을 웃돌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반면 전남(7.6)과 경북(7.8), 제주(8.6), 강원(8.7) 등은 상대적으로 생활경제 고통지수가 낮았다. 배민근 선임연구원은 "올해 우리 경제는 내수가 완만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지만 세계경제 둔화와 원화 강세로 인해 수출증가세가 주춤하면서 경제성장률이 작년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고유가, 중국발 인플레이션 등 대외여건으로 인한 물가불안에 더해 서브프라임 사태에 따른 수출감소가 기업실적과 소득기반을 잠식해 내수위축으로까지 확산된다면 지금은 안정적 흐름을 보이고 있는 고용사정마저 악화될 수 있다"면서 "만약 이렇게 된다면 올해 생활경제 고통지수가 작년에 비해 한층 높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