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2.04 08:10 수정 : 2008.02.04 08:51

생활경제 고통지수 추이

‘체감 실업률’ 여전히 불안
‘2004년 카드사태’ 때 버금

최근 장바구니 물가가 치솟고 고용 불안이 지속되면서 국민이 피부로 느끼는 ‘고통지수’ 또한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엘지경제연구원은 3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국민이 체감하는 ‘생활경제 고통지수’가 지난해 9월 8.5에서 10월 9.9로 뛰어오른 뒤, 11월 10.8. 12월 11.0 등으로 크게 높아졌다고 밝혔다. 이 지수는 각종 경제지표 가운데 체감경기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생활물가(154개 생필품값) 상승률과 주당 17시간 미만 노동자와 취업을 포기하고 고용시장에 이탈한 ‘실망 실업자’ 등을 포함하는 체감 실업률을 합친 값이다.

고통지수를 끌어올린 주된 요인은 최근의 물가 급등세다. 생활물가 상승률(전년 동기 대비)은 지난해 10월(3.9%)부터 당국의 관리 목표치(3.0±0.5%)를 크게 웃돌며 급등해 올 1월에는 5.1%까지 치솟았다. 지난해 체감 실업률은 6.5%로, 3%대인 공식 실업률을 훨씬 웃돌며 전년도(6.7%) 수준에서 떨어지지 않고 있다. 연도별 고통지수는 2004년 11.6을 정점으로 2005년 11.0, 2006년 9.8 등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지난해에도 연간 지수는 9.6으로 전년보다 조금 낮아진 것으로 나타난다.

게다가 지난 1월 ‘고통지수’는, 체감 실업률(이달 중순 발표)이 전년 수준(6.5%)을 유지한다 해도 생활물가 상승률(5.1%)을 더하면 최소한 11.6에 이른다는 계산이 나온다. 배민근 엘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올해 들어 중국발 인플레이션 위협과 미국 금융부실(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등의 여파가 국내 실물경제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며 “소득기반이 줄어 내수가 위축된다면 그나마 안정적 흐름을 보이고 있는 고용 사정마저 더 나빠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역별로 보면, 지난해 경제적 고통이 가장 컸던 곳은 서울(11.0) 광주(10.8) 대전(10.5) 등 주로 대도시인 것으로 조사됐다. 김회승 기자 honesty@hani.co.kr


[한겨레 관련기사]
▶ 한국 경제도 ‘스태그플레이션’ 공포 속으로
▶ ‘지표 빨간불’ 시름 깊어가는 이명박 당선인
▶ 장보기가 겁나요…‘생활경제 고통지수’ 급등
▶ 서브프라임 ‘빚잔치’의 비극
▶ ‘눈폭탄’ 맞은 중국경제 당분간 ‘모로 걸음’
▶ [한겨레21] 미국 제조 ‘글로벌 금융위기 폭탄’ 돌리기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