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격은 미미, 밸류에이션 측면에선 부담"
코스닥시장의 대장주인 NHN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가 현실화될 경우 NHN이 입게 될 타격은 어느 정도일까. 4일 증권업계는 불공정거래를 이유로 공정위가 NHN에 대한 제재에 착수할 경우에도 실제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며 다소 낙관적인 견해를 내놓고 있다. 그러나 타격이 미미하더라도 제재가 현실화 될 경우 이는 NHN에 대한 정부의 규제가 시작된다는 점에서 향후 NHN의 밸류에이션을 낮추는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NHN은 공정위가 인터넷 포털업체의 담합 및 불공정거래 등에 대한 조사 결과와 제재 방안을 이달 중에 발표할 것이라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지난 3일 5.39% 폭락세를 보인데 이어 4일 오후 2시 현재 0.84%의 하락을 기록하고 있다. 공정위는 인터넷 포털업계에 대한 조사 결과, NHN을 `시장지배적 사업자'로 규정하고 콘텐츠 제공업체와의 거래에서 우월적 지위를 남용해 위법행위를 한 혐의를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조사결과를 담은 심사보고서를 전원회의에 상정하고 해당 업체들에도 발송했다. 공정위는 심사보고서에 대한 해당 업체들의 의견서가 접수되면 이에 대한 검토와 추가 확인 등을 거쳐 전원회의를 열고 제재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NH투자증권의 임진욱 연구원은 "공정위의 규제가 현실화 될 경우에도 NHN의 높은 점유율을 근거로 한 CP업체 등과의 불공정 거래가 주된 규제 사유"라며 "점유율 자체에 대한 규제가 아니므로 공정위 규제만으로 매출에 직접적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또 "제재가 확정되지 않았고 제재시 언론에 알려진 과징금 액은 10억원대"라며 "이 같은 과징금 추산 규모는 5천억원 이상의 세전 이익 규모에 비해 미미한 수준으로 과징금이 좀 더 확대되더라도 일시적 비용으로 큰 영향은 없을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한국투자증권의 홍종길 연구원은 "과징금 규모가 10억원 미만이면 시장 지배적 사업자 지정 여부에 상관없이 펀더멘털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NHN의 핵심사업은 온라인 광고와 게임으로 구분되며 온라인 광고 중에서도 검색광고를 제외하면 시장 지배적인 지위에 있다고 볼 수 없다"며 "온라인 광고시장 규모가 전체 광고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아직 10%대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NHN을 규제하는 것이 정당한지 생각해볼 문제"라고 지적했다. NH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은 이 같은 판단에 따라 NHN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에 목표주가를 각각 31만원과 30만원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홍 연구원은 "우려스러운 부분은 공정위 제재와 같은 정부의 규제가 이제 시작이며 앞으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라며 "규제가 실제 수익에 미치는 영향은 적더라도 잠재적 리스크로 부각되면서 밸류에이션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임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미국의 경기침체 등의 여파로 구글의 주가가 고점 대비 35% 이상 하락한 상황에서 NHN의 규제 리스크로 인해 구글과 NHN의 주가가 디커플링 되기는 힘들 것"이라며 "온라인 광고시장의 성장과 IPTV(인터넷 TV) 및 모바일로의 광고 플랫폼 확대, 해외 시장 진출 등의 성장성을 고려해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귀원 기자 lkw777@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