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3.05 00:01 수정 : 2008.03.05 13:55

오는 26일 휴대전화 단말기 보조금 규제 폐지를 앞두고 이동통신 회사들의 판촉전이 뜨겁다. 4일 오전 서울 용산 전자상가 곳곳에 휴대전화를 싸게 판다는 알림판이 붙어 있는 모습.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현장] 보조금 자율화 앞둔 서울 용산전자상가 가보니

51만원 ‘고아라폰’ 19~39만원까지 ‘들쭉날쭉’
SKT 단말기 바꿀 때 · KTF 번호이동때 ‘보조금’
매장선 “이미 자율화…큰 변화 없을 것” 전망

이동통신 업체별 보조금 전략
지난 3일 오후 휴대전화 판매점들이 몰려 있는 서울 용산전자상가 전자랜드 신관 4층. 진열된 제품을 살펴보려하자 ㄱ매장 직원이 “어떤 모델을 찾느냐”며 다가선다. “에스케이텔레콤(SKT) 가입자인데, ‘고아라폰’으로 바꾸려고 한다”고 하자, “보상기변이면 22만원, 케이티에프(KTF)의 ‘쇼’로 이동하면 14만원”이라는 답변이 돌아왔다.

보상기변은 번호이동 없이 보조금을 적용받고 단말기만 새 것으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일단 매장으로 들어와 얘기하자던 이 직원은 케이티에프 3세대 이동통신(쇼) 가입자가 보상기변을 통해 고아라폰으로 바꿀 때는 39만원이라는 설명까지 덧붙였다. 삼성전자의 애니콜 모델 가운데 하나인 고아라폰은 요즘 젊은층에서 인기를 끄는 모델로, 단말기 값만 51만원짜리다. 좀더 싼 것을 찾자, 이 직원은 ‘주얼리폰’을 내놨다. 에스케이텔레콤과 케이티에프 모두 신규 가입자에게는 공짜로, 번호이동을 통해 경쟁업체에서 옮겨오는 이용자에게는 5만원에 주고 있다. 주얼리폰을 보조금 없이 살 경우 39만원을 줘야 한다.

ㄱ매장을 나오자 이번엔 건너편 매장 직원이 다가와 “에스케이텔레콤 가입자의 보상기변을 기준으로 고아라폰은 25만원, 멜론폰은 12만원, 주얼리폰은 10만원, 엘지170은 9만원”이라고 말한다. 마치 기다리고 있었던 듯 제품 가격을 설명하는데 거침이 없다. 에스케이텔레콤 신규 가입자에게는 고아라폰은 19만8천원, 멜론폰과 주얼리폰은 5만원만 내면 되고, 엘지170은 공짜라고 했다. 멜론폰의 단말기 가격은 42만원, 엘지170은 39만원짜리다. 이 직원은 “에스케이텔레콤이 고아라폰, 주얼리폰, 멜론폰을 보상기변용 ‘전략 단말기’로 정해 보조금을 많이 싣고 있다”며 “지난달 말까지만 해도 보상기변 가격이 18만원까지 내려갔었는데 ‘업체들의 협의’로 25만원대로 높아졌다”고 말했다.

에스케이텔레콤이 기존 가입자를 붙드는 데 애쓰는 반면, 케이티에프는 경쟁업체 가입자를 빼오는 마케팅에 주력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이 곳 휴대전화 매장들은 에스케이텔레콤의 경우 보상기변에, 케이티에프는 번호이동에 보조금을 많이 싣는 판매 전략을 보였다. ㅌ매장 사장은 “에스케이텔레콤 가입자가 고아라폰으로 보상기변을 하면 30만원이지만, 케이티에프로 옮기면 13만원”이라고 다른 조건을 제시했다. 매장 직원은 “말씀드린 것은 오늘 기준 가격이고, 내일은 또 어떻게 바뀔지 모른다”고 덧붙였다.

소비자들로서는 이동통신 업체들의 보조금 전략을 잘 활용하면 인기 단말기를 싼 값에 손에 넣는 기회로 삼을 수 있다. 예컨대 에스케이텔레콤 가입자 가운데 010 번호를 쓰는 사람은 케이티에프로 번호이동을 하고, 에스케이텔레콤 가입자로 남고 싶으면 고아라폰·멜론폰·주얼리폰 가운데 하나로 바꾸면 단말기 값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물론 디자인을 따지지 않는다면 공짜 단말기도 많다. 매장별로 제시하는 단말기 값이 다른 점을 고려할 때, 여러 매장을 둘러보면 더 싸게 하는 기회를 얻을 수도 있다.


오는 26일 휴대전화 단말기 보조금 지급을 제한하던 정부 규제가 사라진 뒤의 보조금 변화에 대해서는 한결같이 “보조금 자율화는 이미 이뤄졌다”며 “크게 달라질 게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준석 유비쿼터스정보통신 과장은 “만약 정부가 보조금을 주는 대신 의무가입기간을 설정할 수 있게 하면 보조금이 늘어나 고아라폰 같은 것도 공짜로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단말기 분실 등으로 의무가입기간을 채울 수 없는 상황일 때는 보조금을 토해내야 위험도 있다”고 말했다. 김재섭 기자 jskim@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