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3.12 19:40 수정 : 2008.03.13 18:19

국민연금이 보유한 주요 상장사 지분

“주주들에 손해끼친 정몽구·박용성 회장 이사선임 반대”
‘거수기’ 다른 기관들과 달라 지분 적어 상징적 의미 그칠 듯

주식시장의 ‘큰손’ 국민연금이 형사 처벌을 받았던 재벌 총수의 경영 참여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이는 국민연금이 대기업의 지배구조 개선에 나선 것으로, 다른 기관투자가들의 주주총회 의사결정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국민연금기금 운용위원회 산하 주주의결권행사 전문위원회(위원장 박상수)는 12일 회의를 열어 정몽구 현대·기아자동차 회장과 박용성 두산중공업 회장이 14일과 21일로 각각 예정된 현대자동차와 두산인프라코어의 주주총회에서 등기이사로 선임되는 데 대해 반대표를 던지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국민연금이 대기업 오너의 이사 선임에 반대하는 것은, 지난해 박용성·박용만 후보의 선임 안건이 다뤄졌던 두산중공업 주총에 이어 두 번째다.

국민연금은 현대차 지분 4.56%와, 두산인프라코어 지분 2.92%를 보유하고 있는 주요 주주다. 그러나 국민연금의 반대는 일단 상징적인 의미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국민연금의 지분만으로는 실제 주총에서 정몽구 회장과 박용성 회장의 등기이사 재선임을 막기에 역부족이다. 예컨대 현대차의 경우, 현재 정몽구 회장이 개인(5.8%)과 계열사 등 특수관계인 지분을 합해 모두 31.11%의 지분을 확보해놓고 있다. 게다가 씨제이자산운용을 비롯한 다른 대부분 기관투자가들이 현대차에 우호적 의사표시를 하겠다고 이미 밝힌 상태다. 국민연금은 지난해 두산중공업 주총에서도 박용성 회장의 등기이사 선임건에 대해 ‘주주 권익을 침해한 전력이 있다’는 이유로 반대했으나 다른 기관투자가들이 동조하지 않아 안건이 통과됐었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기관투자가들이 주요기업 주총에서 사실상 ‘거수기’ 노릇을 하고 있는 가운데 국민연금의 이런 행보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국민연금은 2007년 말 현재 220조원의 기금을 조성해 국내 주식시장에 33조원을 투자하고 있는데, 이는 시가총액의 3%에 이르러 시장에서 가장 ‘큰손’으로 꼽힌다.

의결권행사 전문위원회 관계자는 “장기 가치투자를 목적으로 하고 있는 국민연금으로선 지배구조가 개선될 때 수익성도 좋아지기에 잘못된 리더의 선임에 대해 의사표시를 하지 않을 수 없다”며 “단 한 주를 갖고 있는 경우라도 결과에 상관없이 원칙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는 게 옳다”고 말했다. 국민연금은 주총에서 대기업 오너의 이사 선임 적격 여부를 따지는 데 그치지 않고, 평소에도 주주의 이익을 침해하는 기업 경영진들의 의사결정에 대해 적극적으로 의사표시를 할 계획이다.

한편, 현대차 쪽은 국민연금 결정에 대해 “주요 주주로서 의사표시를 존중해야겠지만 정 회장 재임기간의 경영실적과 주가 상승도 고려해줬으면 좋겠다”며 “회장의 등기이사 등재는 경영권 행사 목적이라기보다 책임경영을 실천하는 데 있다”고 주장했다. 현행 상법에는 ‘사실상 이사’라는 조항이 있어, 기업의 대주주가 등기이사로 이름을 올리지 않고 경영권을 행사하더라도 민·형사상 책임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되어 있다.

안창현 이형섭 기자 blu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