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8.03.19 16:00
수정 : 2008.03.19 16:25
|
이명박 대통령이 19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상공의 날 기념식에 앞서 경제4단체장및 근로자 대표와 함께한 간담회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
이명박 대통령이 기업인들과 직접 통화를 할 수 있는 `핫라인(Hot-line)'을 이번주에 개통키로 했다.
청와대는 19일 보도자료를 내고 "이 대통령이 하루 24시간 언제든지 통화할 수 있는 `기업인 핫라인'이 이번주 개통된다"면서 "1차로 선정된 핫라인 번호공개 대상은 모두 102명"이라고 밝혔다.
경제수석실은 최근 이 대통령의 `핫라인 개통' 지시에 따라 각계에서 추천받은 기업들 가운데 업종별, 기업규모별 균형과 경영상태 등을 감안해 대상을 선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업계의 객관적인 의견을 듣기 위해 경제단체와 연구소 대표 등도 포함시켰다.
이번에 선정된 대상에는 경제단체 및 협회 대표 33명을 비롯해 대기업(8명), 중소기업(39명), 금융사(17명), 연구소(5명) 등의 대표들이 포함됐다.
특히 중소기업 대표를 가장 많이 포함시켜 일각에서 제기하고 있는 이 대통령의 `친(親)대기업 성향'에 대한 지적을 불식시키려는 의도라는 해석이 나왔다.
청와대는 조만간 경제수석실을 통해 직접 전화연락을 하거나 공문을 보내 핫라인 번호를 통보할 예정으로, 대상이 된 인사들은 간단한 인사말을 문자메시지로 보내면 정식 개통돼 앞으로 이 대통령과 직접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이 대통령은 이들에게 차례로 전화를 걸어 최근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경제환경 속에서 새 정부의 최대 국정과제인 `경제살리기'에 적극 동참해 줄 것을 당부하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다만 `비즈니스 프렌들리(Business-friendly)'라는 취지와 무관하게 핫라인 개통으로 인한 불필요한 오해나 부작용이 생길까 우려하는 분위기다.
이 대통령도 번호 공개대상에 포함된 인사들이 `자기 과시용'으로 이용하거나, 포함되지 못한 인사들이 섭섭함을 표시하는 등 잡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를 기울이도록 지시했다는 후문이다. 청와대가 이날 구체적인 명단을 발표하지 않는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이 대통령이 기존에 사용하던 휴대전화와 별도로 마련한 핫라인 번호에 대해 철저히 보안을 유지하고, 대상이 된 인사들에게도 통보 과정에서 주의를 당부하기로 했다.
한 참모는 "경제인들의 생생한 현장 목소리를 수시로 청취함으로써 청와대와 기업인 사이에 소통의 기회를 넓히겠다는 취지"라며 "추후 수시로 대상을 업데이트할 예정으로, 특히 운용 과정상에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