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3.21 20:46 수정 : 2008.03.21 20:46

레미콘·아스콘 업계 “집단행동 풀겠다”
자동차 관련 주물업체 “아직도 멀었다”

납품단가 현실화를 요구해온 중소기업계의 집단행동이 일단 진정 국면을 맞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21일 열린 회장단 회의에서 주물 및 레미콘·아스콘 업종의 납품·생산 중단을 풀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자동차 관련 주물업체들과 일부 지방 레미콘 업체들이 납품 중단을 지속하고 있어 갈등의 ‘불씨’는 살아있다.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은 21일 중소기업청장-협동조합 대표 간담회를 끝낸 뒤 “중소기업계가 먼저 모범을 보이는 차원에서 납품 및 생산 중단을 풀기로 했다”며 “개인사업체에 따라 납품을 안할 수는 있겠지만 전체적으로는 (납품 중단을) 끝냈다”고 말했다. 중기중앙회와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일 상생협력 간담회를 개최해 납품단가 현실화를 위해 적극 나서겠다고 공표한 바 있다.

레미콘의 경우 10대 건설사들의 모임인 ‘건우회’와 레미콘 업체들의 모임인 ‘레우회’가 21일 새벽 납품가격을 8.7% 정도 인상키로 합의하고, 33개 건설사 실무자들의 모임인 건설자재직협의회도 건우회와 레우회간 합의내용을 수용함에 따라 수도권 지역 납품이 재개된 상황이다. 지에스건설 관계자는 “강남쪽 아파트 건설현장 한 곳은 이미 콘크리트 타설이 시작됐고, 나머지 현장들도 내일까지는 정상화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중소 주물업체들의 경우 공작기계·산업기계 등 업종의 대기업에는 납품을 재개했으며, 25일 소집될 전국 비상대책회의에서 자동차 쪽을 포함한 다른 업종의 대응책을 결정할 계획이다.

그러나 중소기업들의 근본적인 요구사항은 여전히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어 다시 납품 중단 사태가 빚어질 수 있다. 레미콘업체들은 관급공사 및 정부조달 물품에 대한 단가 인상과 물량배정 방식의 변경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관급물량의 경우 이달 말에 앞으로 1년치에 대한 계약이 이뤄지는데, 레미콘업계는 각 업체들이 전년 대비 110% 이상 납품을 하지 못하도록 제한을 둬 균등한 배분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조달청의 ‘110% 물량제한’은 지난해 감사원으로부터 근거 없는 자의적 규정이라는 지적을 받은 바 있다.

주물 쪽 상황은 레미콘보다 심각하다. 레미콘이 원료·반가공 업계와 최종 수요처의 힘겨루기인 반면, 주물은 전형적인 대-중소기업간 납품단가 분쟁의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주물조합 회원사들이 만든 주물제품 중 현대차나 지엠대우에 직접 납품되는 물량은 미미하고, 대부분 1~2단계를 거쳐 완성차에 납품하는 부품업체에게 들어간다. 김동진 현대차 부회장은 지난 13일 홍석우 중소기업청장과 만나 주물 원재료비를 20% 올리겠다고 약속했지만, 주물업체들은 인상폭도 적고 그 혜택이 해당 중소기업에까지 미치기도 힘든 상황이라고 하소연한다. 또 전경련이 포스코에 주물 원재료인 선철(쇳덩어리) 증산을 요청하겠다고 밝혔지만, 20일 간담회에 자동차업체와 포스코 경영진은 참석하지 않았다.

한편 홍석우 중소기업청장은 간담회 뒤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납품단가 연동제 등에 대해 관계부처들과 협의를 해나갈 것”이라며 “주기적으로 되풀이되는 주물·레미콘 중소기업들의 근본문제가 무엇이고 해법은 없는지 올해 상반기 중 정밀분석 한 뒤 경쟁력을 높일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임주환 기자 eyelid@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