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3.23 19:44 수정 : 2008.03.23 19:44

“정보통신의 날은 집배원 기념일”

“정보통신의 날은 집배원 기념일”

이명박 정부 들어 해체돼 각 부처로 흩어진 옛 정보통신부 조직들이 ‘유물’ 계승을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지식경제부로 간 우정사업본부는 방송통신위원회를 상대로 ‘정보통신의 날’(4월22일)을 넘겨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우정사업본부 고위 관계자는 23일 “역사적으로 볼 때 정보통신의 날은 우정사업의 생일이자 우편 집배원들의 기념일이다”며 “당연히 우정사업본부가 이어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방통위로 간 옛 정통부 관계자들이 우정사업본부와 협의도 없이 ‘정보통신의 날은 방통위 것’이라고 행정안전부에 통보했다”며 “이는 남의 생일을 가로채는 것과 다를 바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실제로 방통위가 정보통신의 날 기념일을 넘겨주지 않을 경우, 우정사업본부 직원들과 집배원들은 올해는 정보통신의 날 기념일 포상과 휴무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정보통신의 날은 체신의 날로 출발했다. 1956년에 1884년 12월4일 고종 임금이 우정총국 개설 축하연을 연 날을 당시 체신의 날로 지정했고, 1972년에 고종이 우정총국을 개설하라는 칙령을 내린 4월22일로 옮겼다. 이후 1996년 체신부가 정보통신부로 부처 이름을 바꾸면서 기념일도 정보통신의 날로 바꿨다.

정보통신의 날에는 ‘집배원의 날’도 들어있다. 1964년 충남 금산에 있는 우체국의 집배원이 험한 날씨에도 편지를 배달하다 순직하는 사고가 발생했는데, 그 해 5월31일 금산군 기자단이 이 집배원을 기리는 행사를 연 게 계기가 돼 집배원의 날이 만들어졌다. 따로 기념식이 열리다 1972년 체신의 날로 통합됐다. 우정사업본부는 이런 역사를 들어 “정보통신의 날을 다시 체신의 날이나 집배원의 날로 이름을 바꿔 우정사업본부가 기념식을 주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방통위 관계자도 “넘겨주는 게 맞는 것 같다”고 말했다.

우정사업본부는 회의실에 걸려 있던 역대 장·차관 사진을 포함해 체신부와 정통부의 다른 사료들도 넘겨줄 것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김재섭 기자 jskim@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