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4.07 19:23 수정 : 2008.04.07 19:23

유럽내 주요 환경라벨

자연소재의류 등 불티…기업들 환경라벨 부착 인증강화

독일 하노버시는 최근 공공부문 전자제품 1만5천여대를 싹 바꿨다. ‘에너지 스타’나 ‘에코-라벨’ 등의 기준을 맞추지 못한 컴퓨터나 팩스 등을 퇴출시킨 것이다. 전체 에너지의 15%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등 환경보호에 적극적인 하노버시는 이를 통해 연간 2만5천(약 3810만원)~4만유로(약 6100만원)의 예산절감 효과까지 거두고 있다.

유럽시장에서 ‘녹색 구매’ 바람이 거세다. 에너지 효율이 높은 자동차·전자제품, 자연소재 의류와 건축자재, 재활용 사무용품 등이 불티나게 팔린다. 코트라는 7일 ‘유럽 그린구매 동향과 진출 확대를 위한 키워드’ 보고서에서 이런 동향을 전하면서 유럽의 친환경 유도정책과 주요 기업들의 발빠른 대응 사례를 소개했다.

녹색소비를 이끌어내는 방법으로는 먼저 환경라벨의 활용을 꼽을 수 있다. 공산품에선 ‘이유(EU) 에코라벨’, 독일의 ‘블루엔젤’, 덴마크·스웨덴 등의 ‘백조마크’ 등이, 건축자재에는 벨기에의 ‘비버’, 유럽 전체에서 쓰이는 ‘네이처 플러스’ 등이 대표적이다.

유기농 인증도 활발해 델레즈, 콜이어트 등 벨기에 대형 유통업체들은 인증기관의 기준을 통과한 제품들에 자체 바이오 인증상표를 부착하고 있다.

다양한 인센티브 정책들도 눈길을 끈다. 스웨덴에서는 친환경 차량 구입 보조금을 주고, 스위스는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제품을 사면 전기요금을 깎아준다.

정철 코트라 구미팀장은 “그린구매가 앞으로 유럽을 넘어 세계시장의 흐름을 좌우할 것”이라며 “국내 업체들도 각 나라의 환경기준 동향을 주시하면서 친환경 제품 개발 및 생산에 힘을 쏟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임주환 기자 eyelid@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