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참여연대 “IMF전 후퇴”
삼성쪽 “달라진 것 없다” 삼성은 총수의 영향력이 이사등재 여부로 달라지는 것은 아니라고 반박한다. 오히려 이사회에 나가지 않는데도 이사를 맡는 게 이상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삼성의 설명은 설득력이 약하다는 지적이 많다. 이 회장은 그동안 전자를 제외한 다른 회사의 이사회에는 거의 참석한 적이 없고, 이사 보수도 받지 않았다. 이는 삼성 구조조정본부가 이 회장을 대리해서 그룹을 총괄하는 삼성의 경영방식 때문이다. 이렇듯 외견상 달라질 게 없는데도 이 회장이 굳이 계열사 이사직을 그만두기로 한 배경에 대해서는 계열사의 경영 실패나 잘못에 대해 이 회장이 직접 책임지는 부담에서 벗어나려는 의도 같다는 분석이 주류를 이룬다. 전문가들은 그룹 경영에서 절대권한을 행사하는 총수의 책임을 따지는 데 있어 이사등재 여부는 대단히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좋은기업지배구조연구소의 김선웅 소장(변호사)은 “이사들이 회사에 손실을 끼쳤을 경우 이사회 회의록 같은 증거가 있어 책임추궁이 쉽지만, 이사가 아니면 어렵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계열사가 분식회계 등으로 증권집단소송을 당한 경우 총수가 등기이사냐 아니냐는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삼성의 행보는 총수들이 주요 계열사의 이사를 맡고 있는 다른 재벌에도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곽정수 대기업전문기자 jskwak@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