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5.04 16:39 수정 : 2008.05.04 16:39

아시아 지역에 외환위기가 발생할 경우 긴급 유동성을 지원해 주는 공동펀드인 일명 `아시아통화기금(AMF)' 규모가 최소 800억 달러로 확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기금 조성을 위해 한.중.일 3국은 약 640억 달러,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10개국은 160억 달러를 분담할 것으로 전해졌다.

한.중.일 3국과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회원국들은 4일(현지시간) 오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리는 제11차 아세안+3 재무장관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합의할 예정이다.

신제윤 기획재정부 국제업무관리관은 3일 기자들과 만나 "아세안+3 회의에 앞서 열린 한.중일 3개국 차관급 회담에서 공동펀드 규모는 최소 800억 달러 이상으로, 분담비율은 한.중.일과 아세안 국가들이 8:2로 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펀드 지원 조건은 만기 3개월에 최장 2년까지 연장할 수 있으며 리보 금리에 1.5~3%포인트를 더한 수준에서 하기로 의견의 일치를 봤다.

지난 해 일본 교토에서 열린 아세안+3 회의에선 회원국들이 보유한 외환보유액을 공동 출자해 공동 펀드를 설립하자는데 합의한 데 이어 올해는 전체 펀드 규모와 한.중.일과 아세안 국가간 분담비율을 확정한 것이다.

신 관리관은 "그동안 아시아 국가들이 일시적 유동성 위기에 처했을 때 이를 막지 못해 헤지펀드 등에게 공격 당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아시안 국가간 공동펀드를 조성하면 이를 예방할 수 있다"며 "다만 이 공동펀드는 국제통화기금(IMF)과 독립적 성격이 아닌 보완적 성격을 갖는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번 회의에선 한.중.일 3개국간 분담 비율은 확정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각 국이 얼마를 부담하느냐에 따라 투표권 비율도 달라질 수 있어 3개국은 주도권을 잡기 위해 더 많은 분담금을 내려고 팽팽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번 회의에선 역내 채권시장 발전을 위해 아시아 지역 신용보증기구를 설립하는 한편 ▲공급확대 ▲수요촉진 ▲규제개선▲인프라 개선 등 4가지 주제를 놓고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기로 합의할 예정이다.

조재영 기자 fusionjc@yna.co.kr (마드리드=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