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8.05.07 13:59
수정 : 2008.05.07 13:59
SK·KT, 회원동의없이 ‘개인 맞춤형’ 광고 추진
방통위 “정보 활용목적 달라 명시적 동의 필요”
에스케이(SK)와 케이티(KT) 등이 당사자의 명시적인 동의 없이 고객들의 행태를 분석해 마케팅에 활용하는 사업을 추진해, 사생활 및 개인정보 침해 논란이 예상된다. 당사자 쪽에서 보면 몰래 자신의 서비스 이용 행태나 상품 구매 패턴을 분석해 광고나 마케팅에 활용하는 꼴이기 때문이다.
에스케이텔레콤(SKT)과 에스케이에너지는 최근 각각 1900억원씩을 투자해, 마케팅을 전문으로 하는 ‘에스케이마케팅앤컴퍼니’를 설립했다. 이방형 에스케이마케팅앤컴퍼니 사장은 “에스케이에너지의 오케이캐쉬백 사업을 넘겨받은 뒤 회원들의 상품 구매나 서비스 이용 행태를 분석해 개인별 맞춤형 광고나 제휴 마케팅에 활용하는 사업을 벌일 예정”이라며 “2013년까지 매출 1조원, 영업이익 1500억원 규모의 마케팅 전문업체로 성장하는 목표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케이티는 인터넷텔레비전(IPTV) 가입자들의 콘텐츠 이용행태를 분석해 개인 맞춤형 광고에 활용하는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이 업체 관계자는 “가입자 장비에 남겨진 콘텐츠 이용 기록을 분석해, 가입자 취미나 기호에 맞는 상품 광고를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케이티는 이 사업을 위해 인터넷 광고 대행 전문업체를 인수했다. 이들 업체 관계자들은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이런 사업이 이미 일반화됐다”며 “파생 정보를 만들어 활용하는 것이라 고객의 동의 없이도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미국 등과 달리 우리나라는 주민등록번호가 함께 활용돼, 고객이나 회원의 행태를 분석해 마케팅에 활용할 때도 당사자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기업들이 고객이나 회원들의 주민등록번호까지 수집해 함께 활용하는 상황에서는 이용자들의 행태 분석 정보도 개인정보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실제로 미국에선 기업이 이용자의 상품 구매 패턴이나 서비스 이용 행태를 분석해도 그게 누구 것인지를 알지 못한다. 누구 것인지 드러나도, 이용자가 사용자이름(아이디)를 바꾸면 연결고리가 다시 끊어진다. 반면 우리나라 기업들은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해 누구 것인지를 바로 알 수 있다.
방송통신위원회 조영훈 개인정보보호과장은 “인터넷텔레비전 가입자들의 행태를 분석해 마케팅에 활용하려는 것에 대해서는 이미 개인정보 침해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며 “에스케이마케팅앤컴퍼니 사례도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에스케이마케팅앤컴퍼니의 경우에는 오케이캐쉬백 사업을 인수하기 위해 회원들의 동의를 받는 방법을 놓고도 논란이 예상된다. 에스케이마케팅앤컴퍼니는 “4월15일부터 전자우편과 홈페이지를 통해 오케이캐쉬백 회원들에게 개인정보 양수도 사실을 알리면서 ‘이의가 있으면 해지하라’고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업체는 일정기간이 지나도록 해지 신청을 하지 않으면 개인정보 양수도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할 방침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양수도 전과 뒤에 회원들의 개인정보 활용 범위나 목적이 달라지기 때문에 명시적으로 동의 의사를 밝힌 회원 것만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방통위 개인정보보호팀 김민섭 선임연구원은 “양수도 과정에서 애초 동의받은 것과 달라지는 게 있을 때는 명시적으로 다시 동의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재섭 기자
jskim@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