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5.15 20:17 수정 : 2008.05.15 20:17

‘기업 사회적 책임’ 41위→2위
정권교체뒤 순위 급상승

‘기업가 정신’ 44위→10위
“CEO 평가가 국가경쟁력
객관적 기준 삼기에 미흡”

우리나라 기업의 최고경영자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얼마나 인식하고 있을까?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이 각국의 국가경쟁력 평가를 위해 지난 3월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100여명의 우리나라 기업 경영자들은 이 항목에 평균 7.07점(10점 만점)을 매긴 것으로 15일 밝혀졌다. 조사대상 55개국 가운데 2위다. 지난해 조사에서는 5.11점으로 41위였던 게 불과 1년 만에 ‘세계 최고 수준’이란 자평으로 바뀐 것이다.

기업경영 활동에 대한 기업인들의 평가는 다른 설문항목에서도 점수가 크게 높아졌다. ‘회사가 인재 유치와 보유에 경영의 우선 순위를 두는 정도’는 34위에서 7위로, ‘기업가 정신을 공유하는 정도’는 44위에서 10위로 올라섰다. ‘경제·사회 개혁의 필요성을 이해하는 정도’는 35위에서 9위로 뛰었다. 기업인들의 긍정적인 평가 속에 ‘기업 효율성’ 부문 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36위로 두 계단 올랐다.

반면, ‘정부 효율성’에 대한 기업인들의 평가는 급추락했다. ‘국가의 기업소유가 기업활동을 위협하지 않는 정도’는 17위에서 47위로 곤두박질쳤고, ‘관료제가 기업활동을 방해하지 않는 정도’는 24위에서 42위로 떨어졌다. ‘노동규제가 기업활동을 방해하지 않는 정도’는 45위에서 꼴찌 바로 앞인 54위로 떨어졌다. 이런 평가는 정부 효율성 부문의 순위를 31위에서 37위로 끌어내렸고, 국가경쟁력 종합 순위를 29위에서 31위로 끌어내린 핵심 원인이 됐다.

국제경영개발원의 우리나라쪽 파트너 기관인 삼성경제연구소는 ‘기업 효율성’에 대한 평가가 좋아진 데 대해 “기업 친화적인 정부의 출범을 맞아 기업인들의 경영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개선되는 모습을 반영한다”고 해석했다. 정권 교체가 하루 아침에 기업 효율성을 크게 높였다는 설명인 셈이다. ‘정부 효율성’에 대한 평가가 나빠진 것은 “아직도 정부의 기업관련 법규가 기업활동에 부담으로 작용해 개선 여지가 크다는 뜻”이라고 해석했다.

이름 밝히기를 꺼린 한 민간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이에 대해 “국가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소들이 어떻게 하루아침에 크게 달라질 수 있냐”며 “기업인들이 이 설문조사를 ‘정치적 목소리’를 내는 통로로 이용하고, 언론이 이를 받아 크게 보도하는 우스꽝스런 일이 해마다 되풀이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국제경영개발원의 국가경쟁력 평가는 330여개 조사항목 가운데 100여개가 해당국 기업 최고경영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평가로 이뤄진다. 이 때문에 객관적 통계보다 기업인들의 ‘변덕스런 답변’이 순위를 좌우한다. 정부와 사회가 기업이 추구하는 목표인 이윤 창출을 얼마나 지원하느냐를 중심으로 국가경쟁력을 판단하는 점도 객관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을 많이 받아왔다.

정남구 기자 jej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