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우조선해양 매출과 순이익 추이
|
노조 “기술유출 방지 제도장치없는 졸속 매각단행”
매각주간사 국내업체 선정·지분 국민주 배분 제안
산업은행이 서둘러 진행시키던 대우조선해양 매각 작업이 골드만삭스의 매각 주간사 자격 논란에 이은 계약 취소로 파열음을 내고 있다. 일부에서는 이를 기회로 매각 작업 자체를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산업은행은 8월까지 매각 주간사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다는 애초 일정을 강행할 방침이어서 반발이 예상된다.
대우조선해양 노동조합은 19일 성명서를 내어 “골드만삭스의 매각주간사 철회는 당연하며 매각은 원점에서 재검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산업은행은 방산과 관련된 기밀사항과 조선의 기술유출 문제에 대한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지 않은 채 졸속 매각을 단행하려는 무능함을 여실히 드러냈다”고 꼬집었다.
노조는 정부·산업은행·대우조선해양 노조가 모두 참여해 매각을 진행하고, 매각주간사로는 국내 업체를 선정할 것을 요구조건으로 내걸었다.
대우조선해양은 세계 3위의 조선 업체이자 정밀기술을 요구하는 엘엔지선 분야에서 세계 최대 수주량을 자랑하는 업체다. 또 최고 성능의 디젤 잠수함으로 평가되는 한국형 잠수함 핵심기술을 가진 업체이자, 구축함인 충무공 이순신함 등 국내에서 가장 뛰어난 군함을 만든 곳이다. 한국형 이지스함이 2010년 인도 예정으로 건조 중이기도 하다.
이처럼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데다 국가 안보에도 필수적인 업체의 매각 과정이 졸속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 시민단체 등의 비판 이유다.
그런 만큼 매각 작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라는 목소리도 점차 힘을 얻고 있다. 산업은행과 자산관리공사가 보유한 지분 50%를 일괄매각하는 데 대한 의구심도 커지고 있다.
거제지역 67개 시민사회단체로 이뤄진 ‘대우조선매각 범시민대책위원회’는 매각절차 결정 과정에 종사자와 지역민의 참여보장 등을 내걸고 지역에서 여론전을 벌이고 있다.
송태경 경제민주화를 위한 민생연대 사무처장은 “이번 일은 대우조선해양 한 회사의 매각이 아니라 국가 중추산업인 조선산업의 미래를 결정지을 수 있는 큰 사안”이라며 “산업은행은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챙길 수 있는 지분의 일괄매각 욕심을 버리고 우리사주조합의 지분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조 등은 일찍부터 노조나 우리사주조합에 지분을 싼 값에 배분함으로서 구성원들이 경영에 참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 지분은 국민주 방식으로 배분하는 일종의 ‘포스코식 지분 매각’을 대안으로 제시해 왔다. 워크아웃 기업이었던 옛 대우중공업을 현재까지 키운 회사 구성원들이 회사 성장의 과실도 함께 나눠가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