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8.05.26 18:45
수정 : 2008.05.26 19:04
중소업체, 정부에 대책 요구
올해 초부터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철근 가격이 다음달이면 톤당 100만원을 넘길 것으로 예상돼 건설업계가 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철강사들은 급상승하고 있는 고철 가격 등을 이유로 올해 초부터 철근을 포함한 철강재 가격을 계속해서 올려왔다. 지난해말 톤당 58만원 수준이었던 철근 가격은 매달 가격 인상을 거듭해 이달 중순 95만원 수준까지 올랐다. 60%가 넘는 급등이다. 철강업계는 6월에도 가격 인상을 검토하고 있으며 이번에 가격이 인상될 경우 철근 가격이 톤당 100만원을 넘어설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철강업계는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한다. 철근의 원재료가 되는 철스크랩 가격과 국내 고철 가격이 치솟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말 톤당 31만원 수준이던 국내 고철 가격은 현재 톤당 68만원으로 119% 올랐고 수입 철스크랩 가격도 같은 기간 톤당 378달러에서 750달러로 98% 올랐다. 한 철강업계 관계자는 “현재 중국산 철근은 톤당 102만원, 일본산은 톤당 104만원으로 국내에서 거래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국내 업체들이 원가 상승 요인을 적시에 시장에 반영하지 않으면 유통 및 건설사들의 매점매석으로 시장 혼란이 더 가중될 수 있다”고 말했다.
건설업계는 원자재값 상승을 건설회사들이 모두 떠안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대우건설의 한 관계자는 “건설사들은 이미 선분양한 물량을 현재 건설하고 있는 만큼 철근 가격 인상을 반영할 수가 없는 상황”이라며 ”국내 경제가 물가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모든 원자재값 상승 부담을 건설사에만 지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건설업계는 함께 모여 정부에 대책을 요구할 예정이다. 중소 건설사들의 모임인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이하 건자회)는 29일 정기총회를 열고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등 정부부처에 철근값 인상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기로 했다. 건자회 이정훈 회장은 “정부는 지난 3월 이후 철근 사재기 행위 단속만 하고 있을 뿐 이렇다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가 중재에 나서 수요·공급자가 서로 고통을 분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