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4.25 19:35 수정 : 2005.04.25 19:35


분양가 내린다며 몇십만원 `생색'
호가는 그대로…숨 죽이고 `관망'

정부의 재건축 시장에 대한 고강도 조처에 강남 일대의 재건축 조합과 건설사에 비상이 걸렸다. 건설교통부의 압구정동과 잠원동 일대 중층(10~15층) 재건축 추진지역에 대한 탈법·불법 조사와 함께 경찰이 서울시내 재건축 조합을 대상으로 전면적인 비리 단속에 나선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강남권 재건축 시장은 이날부터 거래가 전면 중단되는 등 숨을 죽이고 있다.

재건축 조합과 건설사들은 정부의 이런 전방위적인 압박 속에서 25일 긴급 모임을 갖고 분양값을 급히 내리는 등 분양승인 취소만큼은 피하기 위해 부심했다. 그러나 조합과 건설사들이 이날 내놓은 분양값 조정안은 비록 분양승인은 받았으나, 인하 폭이 지나치게 적어 ‘생색내기용’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 재건축 조합, 건설사 초비상=정부의 압박에 위기감을 느낀 일부 재건축 조합과 시공사는 이날 긴급 회의를 열고 분양값을 급히 내리기로 했다.

송파구 잠실 주공2단지 재건축 조합과 시공사(삼성, 대우, 대림, 우방)는 24평형 분양값을 평당 1885만원에서 1810만원으로, 33평형은 1949만원에서 1880만원으로 내리는 방안을 내놓았다. 반면, 12평형은 분양신청 당시 분양값인 평당 1465만원에서 애초 관리처분계획 때 분양값인 평당 1506만원으로 다시 올리기로 했다.

그러나 조합과 건설사의 이런 분양값 조정안을 두고 ‘눈가리고 아웅’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분양값을 올린 12평형의 경우 분양 가구수가 868가구로 24평형(228가구), 33평형(19가구)보다 훨씬 많아 분양값을 조정한 이후 전체 분양금액은 분양승인 신청 당시보다 고작 1억6350만원 줄어들기 때문이다. 결국 일반 분양에서만 총 2821억원의 매출이 발생하는 분양사업에서 고작 12평형 아파트 한채 값을 내린 것에 불과한 것이다. 이에 대해 컨소시엄에 참여한 한 건설사 관계자는 “12평형 분양값을 애초 관리처분 계획 당시 가격으로 돌렸지만 원룸형인 이 아파트는 실수요자라기보다는 임대사업자용 주택이어서 미분양에 따른 위험을 건설사가 부담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 강남 재건축 시장 거래중단=정부의 전방위적 재건축 옥죄기가 현실화되면서 강남과 잠실 일대 재건축 시장은 이날부터 거래가 전면 중단된 상태다. 잠실 주공2단지 등 재건축 단지 주변 부동산 중개업소에는 매수·매도 문의가 끊어진 가운데 앞으로 재건축 단지 집값이 급락하는 것 아니냐는 위기감이 퍼지고 있다. 잠실동 대우부동산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거래는 완전히 공백 상황이며, 아직까지 호가는 변동이 없지만 실제로 분양승인이 보류된다면 재건축 시장이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고 말했다.


재건축 조합이 설립되지도 않았으나 초고층 재건축 추진 기대감 속에 최근 집값이 급등했던 압구정동, 잠원동 등도 정부의 시장 단속 움직임에 숨을 죽이는 모습이다. 압구정동 한라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정부의 단속 방침이 전해진 뒤 가격을 묻는 전화만 간간히 있을 뿐 모든 거래가 중지됐다”며 “그러나 압구정동은 어차피 재건축 사업을 길게 보고 있는 곳이어서 집값이 쉽게 떨어질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