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6.12 19:18 수정 : 2008.06.12 19:18

중소기업들의 원자재 구매 시 애로사항

중소기업 대다수가 원자재 공급시장에 투명성이 부족하며, 대기업들이 짬짜미(담합)를 벌이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최근 철강, 석유화학, 종이 등의 원자재를 쓰는 중소기업 320개사를 대상으로 ‘원자재 구매에 따른 애로요인’(복수응답)을 조사했더니, 65.2%가 ‘원자재 가격을 대기업들이 담합해 결정한다’고 응답(복수응답)했다고 12일 밝혔다. 또 조사대상 기업 중 84.8%는 “대기업이 원자재 공급가격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제조업 중소기업들 사이에 원자재 공급 시장구조에 대한 불신과 불만이 팽배해 있는 것이다.

원자재 구매과정에서 애로사항(복수응답)으로는 ‘대기업이 원자재를 공급한 후 가격을 결정하여 일방적으로 통보하는 방식’(66.0%)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대기업의 담합·매점매석으로 인한 높은 가격 유지(42.8%) △대기업 판매계열사를 통해서만 원료를 공급함에 따라 가격이 비쌈(30.9%) △중소기업에 대한 거래 거절 또는 공급물량이나 가격면에서의 차별 (23.5%) 등의 차례였다.

가격이 어떻게 변할 것인지 예고 통보를 받고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선 24.3%가 ‘받지 못한다’고 답했으며, 통보를 받는다는 업체들 중 76.9%는 관련 서류 없이 영업사원들의 구두통보를 받고 있었다. 원자재 가격변동을 예고해줄 때 기대할 수 있는 효과에 대해 65.1%는 ‘중소기업의 제조원가 산정 및 가격경쟁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으며, 30.5%는 ‘대기업간 경쟁 유발로 가격인하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임주환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