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료품 등 서민 생활물가 7% 폭등
국제유가 급등의 영향으로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마침내 5% 중반까지 치솟았다. 1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5.5% 급등했다. 소비자물가가 작년동월대비로 이처럼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은 1998년 11월(6.8%) 이후 9년7개월만에 처음이다. 소비자물가는 올 들어 1월 3.9%, 2월 3.6%, 3월 3.9% 등 3%대 후반에 머물다 4월 4.1%, 5월에는 4.9%까지 치솟는 등 점차 상승률이 가팔라지고 있다. 식료품 등 일상생활에서 자주 구입하는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작년동월에 비해 7.0% 급등했다. 이 역시 2001년 5월(7.1%) 이후 최고치다. 농수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4.3% 올라 1998년 11월(4.4%)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다만 생선류.채소류.과실류 등 신선식품지수는 5.6% 하락했다. 석유류를 포함한 공업제품이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무려 10.5% 상승했고, 개인서비스 부문도 4.8% 올라 물가 상승에 상당폭 기여했다. 공공서비스는 2.5%, 집세는 2.4% 각각 올랐고, 농축수산물은 1.3% 상승했다. 기여도별로는 공업제품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5.5% 중 3.20%포인트를 차지했고, 개인서비스(1.68%포인트), 공공서비스(0.42%포인트), 집세(0.22%포인트), 농축수산물(0.11%포인트) 등이었다.품목별 기여도를 보면 휘발유(0.74%포인트), 경유(0.62%포인트), 등유(0.35%포인트), 금반지(0.30%포인트), 돼지고기(0.20%포인트), 도시가스(0.19%포인트), 전세(0.17%포인트), 자동차용 LPG(0.16%포인트), 사립대 납입금(0.12%포인트). 유치원 납입금(0.08%포인트) 등의 순이었다. 품목별로 작년 동월비 상승률을 보면 농축수산물 중에선 돼지고기(27.2%), 조기(24.8%), 달걀(20.6%) 등이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무(-20.8%), 마늘(-13.4%), 양상추(-34.3%), 열무(-29%) 등은 하락했다. 공업제품 중에서는 등유가 64%, 경유가 51.3% 급등했고, 휘발유(22.8%), 자동차용 LPG(31.2%), 취사용 LPG(36.7%), 금반지(52%), 비스킷(36.9%), 빵(17%), 스낵과자(15.7%), 라면(14.5%) 등도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가격이 많이 올랐다. 집세는 전세가 2.5%, 월세가 1.9% 올랐으며, 개인서비스 중에서는 사립대 납입금(7.3%), 유치원 납입금(8.4%), 보육시설이용료(6.6%), 종합 대입학원비(7.2%), 해외 단체여행비(14.5%) 등이 주로 상승했다. 정부가 가격을 집중관리하는 주요 생필품 52개 중에선 지난달에 비해 26개 품목이 올랐고 9개는 하락했으며 17개는 변동이 없었다. 품목별 전월비 상승률을 보면 등유(12.3%), 휘발유(6.3%), 경유(8.3%), LPG(8.2%), 밀가루(13.5%), 돼지고기(11.8%) 등이 많이 올랐으며, 배추(-10.8%), 무(-12.7%), 파(-11.4%),양파(-3.7%), 마늘(-2.8%) 등은 하락했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