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1.13 16:00 수정 : 2005.01.13 16:00

오는 4월부터 생산품의 제조원가중 수입 원료나 부품을 제외한 순수 국내 원료 및 부품의 비중이 51%를 넘어야만 '한국산' 표시를 할 수 있게 된다.

산업자원부는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대외무역관리규정 개정안을 마련, 13일공고했다.

산자부는 개정안을 소비자 피해가 발생한 가죽, 모피, 의류, 신발, 모자, 우산등 17개 소비재 품목부터 우선 적용한 뒤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또 한국산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원산지 대신 '가공국' 또는 '조립국'으로 한국을 표시하고 원료나 부품의 원산지를 병행 표시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오는 7월부터 각기 다른 법령에 따른 품목별 표시와 원산지표시가 다른 라벨에 이뤄지고 있는 것을 하나의 라벨에 모두 표시토록 수입원산지 표시 방법을 개선키로 했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