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또 "현재 은행을 중심으로 제공되는 공적보증과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주택담보 대출 등을 저축은행들도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
“상호저축은행, 잠재부실 상당한 수준” |
부실심화로 침체를 겪고 있는 상호저축은행 업계에 강도높은 구조조정이 지속적으로 시행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금융연구원의 정찬우 연구위원은 15일 오전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상호저축은행중앙회 주최로 열린 `비은행권의 향후 비전과 감독방향' 이라는 주제의세미나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그동안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저축은행의 잠재부실은아직 상당한 수준"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정 위원은 "현재 저축은행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은 소액신용대출의 연체율 증가와 부동산 기획대출(Project Financing)의 잠재 부실화 우려"라고 지적하고 "이들분야에서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업체에 대해서는 자산건전성에 대한 당국의 지속적인 감독 노력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당국은 부실화 우려가 높은 저축은행에 대해 적기시정 조치를 조기에발동, 부실확대로 인한 파장을 사전에 차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축은행에 대한 당국의 감독방식에 대해 정 위원은 "은행과 증권업 등에 적용하고 있는 일률적 규제방식이 아닌 개별업체의 자산규모와 건전성에 따라 자산운용과 영업에 대한 규제를 달리해야 한다"며 다른 업계와 차별성을 둘 것을 강조했다.
저축은행 업계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정 위원은 지방은행 수준의 중견 금융회사로 발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고객기반과 영업의 형태에 있어 저축은행은 상호금융과 매우 흡사하다"면서도 "서비스 제공대상이 특정 고객군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저축은행은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중견 금융회사로 발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위원은 "저축은행들이 적절한 자본과 영업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업무영역을확대하는 한편, 영업지역과 밀착활동을 벌이는 업체 특성상 지방은행으로 전환할 수있는 제도적 근거도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현재 은행을 중심으로 제공되는 공적보증과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주택담보 대출 등을 저축은행들도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그는 또 "현재 은행을 중심으로 제공되는 공적보증과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주택담보 대출 등을 저축은행들도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