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출금리와 예금금리 추이
|
21일 한국은행과 은행권 자료를 살펴보면, 지난해 11월말 현재 예금은행의 정기예금 평균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4.43%로 6월말 금리에서 0.06%포인트밖에 오르지 않았다. 하지만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는 5.48%에서 5.69%로 0.21%포인트나 올라 인상폭 차이가 3.5배나 됐다. 올해 들어서는 예금·대출 금리간 인상폭이 더욱 벌어지고 있다. 은행들이 예금금리 인상엔 여전히 주저하는 것과 달리, 주택담보대출금리는 잇따라 올려 연 7%선을 넘어서고 있다.
국민은행은 이번주부터 새로 취급하는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0.06%포인트 더 올리기로 했다. 이에 따라 국민은행의 대출 최저금리는 연 6.05~7.05%로, 지난해 6월말에 견주면 0.69%포인트나 높아졌다. 반면에 1년짜리 정기예금의 최고금리는 현재 4.65%에 불과해, 지난해 6월말보다 고작 0.1%포인트 오른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인상폭 차이가 7배까지 벌어진 것이다.
우리은행과 신한은행도 22일부터 적용하는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5.84~7.14%와 5.94~7.04%로 각각 0.05%포인트씩 올린다.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의 정기예금금리는 각각 4.6%와 4.8%로 지난해 6월 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태다.
지난해 말 한국은행이 지급준비율을 인상한 뒤 주택담보대출금리의 기준금리 노릇을 하는 양도성예금(CD) 금리가 가파르게 뛰고 있어 대출금리 상승세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상반기엔 은행들의 영업경쟁으로 상대적으로 두 금리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하반기 이후엔 지급준비율 인상에 따른 영업이익 감소가 우려돼 예금금리를 선뜻 올리긴 힘든 실정”이라 말했다. 최우성 기자 morgen@hani.cokr
/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