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1.28 19:10 수정 : 2008.01.28 19:35

중국 소비자물가 상승률 추이

중 폭설·일 침체 전망·프 SG 후폭풍 투자심리 꽁꽁
미 경기침체 우려 속 당분간 ‘뉴스’에 일희일비할 듯

‘불안은 시장을 잠식한다.’

지난주 후반기에 반짝 반등세를 보였던 국내외 증시가 다시 급락세로 돌아섰다. 28일 코스피지수는 나흘 만에 하락하며 지난주보다 3.85% 급락한 1627.19로 마감됐다. 일본 니케이225지수도 4%(3.97%) 가까운 급락세를 보였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 역시 7%대의 하락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미국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감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각종 악재가 터지면서 시장의 불안감이 증폭된 탓이라고 분석했다.

■ 업친 데 덮친 격=안정을 찾지 못하고 있는 미국 증시 상황이 이날 아시아 증시 하락의 가장 큰 원인을 제공했다. 25일(현지시각) 미국 증시는 미 의회 지도부와 정부가 1500억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에 합의했다는 소식과 기업들의 실적 호조에도 불구하고 사흘 만에 하락했다. 은행권 손실이 확대될 것이라는 우려가 다시 불거진 탓이다.

김학균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투자자들은 지난 5년 동안의 미국 경제 호황과 증시 호황이 동시에 끝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불안감에서 쉽게 벗어나고 있지 못하다”면서 “적어도 1분기 안에는 조그만 충격에도 시장이 흔들리는 상황이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여기에 각종 악재들이 더해지며 아시아 시장이 동반 급락했다. 28일 중국 증시는 미국 주가 하락 소식에 약세로 출발했다가 54년 만의 폭설로 산업 피해와 함께 물가 급등이 우려된다는 소식까지 전해지면서 오후 들어 폭락 양상을 보였다. 지난해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던 중국 증시가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증시에서 가장 매력이 낮다는 내용을 담은 씨티그룹 보고서 역시 중국 시장에 대한 투자심리를 악화시켰다.


이번주 미국 경제지표 발표 일정
일본 주식시장도 이날 미국에 이어 일본 경제도 경기침체 가능성이 높다는 골드만삭스의 분석 보고서가 나오면서 휘청거렸다. 골드만삭스는 보고서에서 “일본 경제가 2002년 이후 지속해 온 경기확장 국면에서 벗어나 이미 경기침체기에 들어섰거나 이번 분기에 진입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이는 내수 부진과 주택경기 둔화에 따른 결과”라고 지적했다.

유럽 금융시장을 혼란에 빠뜨린 프랑스의 ‘소시에테제네랄 금융사기’ 사건도 국내 증시 하락을 부추겼다. 조재훈 대우증권 투자전략부장은 “아직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충격과 프랑스 소시에테제네랄 사건의 후폭풍으로 일부 헤지펀드와 금융기관이 위기에 처할 것이란 소문이 돌면서 세계 증시에 심리적 부담을 주고 있다”고 진단했다.

우리투자증권 강현철 투자전략팀장은 “최근 홍콩, 싱가포르 투자자들은 만나본 결과 외국 투자자들의 투자심리는 공황 상태”라며 “외국 기관들이 그 동안 한국 물량을 집중 처분해왔으나 상황이 여의치 않다고 판단해 인도와 중국 물량도 대량으로 처분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 당분간 급등락 불가피=이번주에는 미국의 경기침체 여부를 가늠해볼 수 있는 굵직한 경제지표 발표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까지 예정돼 있어 시장 변동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29일 발표되는 주택판매지수를 비롯해 소비자기대지수,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 등의 미국 경제지표가 예상치를 밑돌 수 있고, 금리인하 폭도 예상보다 작을 것이라는 불안감이 시장을 짓누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시장의 체력이 전반적으로 약해진 상황에서, 앞으로 한동안 시장은 각종 뉴스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종우 교보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미국 정부가 금리인하와 각종 부양책 등 다양한 조처를 취하고 있지만, 시장의 관심은 온통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여건) 손상에 쏠려있는 상황”이라면서 “경기가 더 나빠지지는 않는다는 긍정적 지표가 나올 때까지는 주식시장의 불안은 한동안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은숙 기자 sugi@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