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관계자는 "금융서비스 수수료의 가장 큰 부문은 주식 매매 수수료인데, 지난해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국제 금융시장이 불안해지자 외국인이 국내에 투자한 주식을 파는 빈도가 잦아지면서 금융수수료 지급액도 덩달아 급증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
작년 외국인이 낸 금융수수료 4조원 육박 |
외국인의 국내 주식투자 자금 유.출입이 활발하면서 작년 한해 외국인이 우리나라에 뿌린 금융서비스 수수료가 4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07년 중 외국인이 국내 금융기관에 지급한 금융서비스 수수료는 41억4천600만달러(한화 약 3조8천522억원)로 전년보다 63%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서비스 수수료 수입은 2004년 10억8천만달러에서 2005년 16억5천만달러, 2006년 25억4천만달러로 크게 늘어나고 있다.
국제수지 상의 서비스수지 항목 가운데 하나인 금융서비스 수수료 수입은 외국인이 국내 증시나 채권시장 등에 투자하는 과정에서 국내 소재 금융기관에 지급하는 중개수수료가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지난해의 경우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로 국제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면서 외국인들이 국내 주식을 대량 매도하고 채권을 구입하면서 금융 수수료를 많이 지급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해 외국인들의 국내 채권 순매수 규모는 362억8천만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으며 이는 전년의 20억달러보다 18배 가량 증가한 것이다.
또 외국인들은 작년 한해 국내 주식 289억4천만달러를 순매도한 것으로 집계됐다.
내국인이 해외 자본시장에 투자할 때 외국 소재 금융기관에 지급한 수수료는 7억1천만달러로 전년 5억5천만달러에 비해 크게 늘었지만 외국인이 국내 금융기관에 지급한 수수료 규모에 비하면 6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한은 관계자는 "금융서비스 수수료의 가장 큰 부문은 주식 매매 수수료인데, 지난해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국제 금융시장이 불안해지자 외국인이 국내에 투자한 주식을 파는 빈도가 잦아지면서 금융수수료 지급액도 덩달아 급증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한은 관계자는 "금융서비스 수수료의 가장 큰 부문은 주식 매매 수수료인데, 지난해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국제 금융시장이 불안해지자 외국인이 국내에 투자한 주식을 파는 빈도가 잦아지면서 금융수수료 지급액도 덩달아 급증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