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8.02.17 21:31
수정 : 2008.02.17 21:31
삼성화재 사태에 놀란 가슴?
삼성화재가 미지급 ‘간접손해보험금’으로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가운데, 일부 보험사들이 뒤늦게 보험금 찾아주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ㅎ보험사는 최근 일선 지점에 공문을 보내 소급 지급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나머지 보험사들도 100% 정산이 끝나지 않아 계속 소급 지급 활동을 벌이고 있다.
간접손해보험금은 차량 수리비와 치료비 외에 교통사고로 생긴 2차 피해를 보상해주는 보험금이다. 보험사들은 그동안 보험 계약자들이 이런 내용을 제대로 모른다는 점을 이용해 보험금 지급을 누락해오다가 지난해 말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2억원 상당의 과징금 처분을 받기도 했다.
이에 앞서 손보사들은 지난 2006년 5월 금융감독원의 행정지도에 따라 미지급한 간접손해보험금을 여러 경로를 통해 되찾아주는 활동을 해왔다. 이 때문에 손보사들은 최근 들어 다시 소급 지급 캠페인에 몰두하는 것도 금감원 행정지도 이후 이어지고 있는 활동의 자연스런 연장으로 봐달라는 입장이다. 손해보험협회 자료를 보면, 지난해 7월 기준으로 미지급한 간접손해보험금 중 94.4%는 소급 지급 캠페인에 힘입어 지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각에선 손보사들의 최근 행보가 삼성 특검 조사 과정에서 불거진 삼성화재의 비자금 조성 의혹과 무관하지 않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삼성화재는 미지급 간접손해보험금을 재원으로 수년동안 비자금을 조성해왔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이 때문에 삼성화재 사태로 미지급 간접손해보험금에 대한 언론보도가 잇따르는 등 여론의 관심을 받게 되자, 손보사들이 불필요한 오해를 받지 않기 위해 소급 지급 활동에 더욱 주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 손보사 관계자는 “소급 지급률이 낮을 경우 금감원의 검사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전사 차원에서 미지급 보험금을 찾아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달 말 삼성화재 등 8개 보험사는 공정위가 지난해 말 내린 과징금 처분에 불복하는 집단 행정소송을 내기로 결정해 논란을 자초한 바 있다.
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