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기업 주당순이익(EPS) 전망치 추이
|
보호예수 해제·유상증자로 ‘수급불균형’ 하락 지속
“긴축 완화·기업 실적 지켜본 뒤 저가매수 결정해야”
지난달 14일만 해도 5500 가까이 올랐던 중국 상하이종합지수가 25일 4% 이상 급락하며 4100선까지 주저앉았다. 4거래일 연속 하락세다. 올 연초부터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인 홍콩 항셍지수와 홍콩 H지수도 게걸음세를 보이며 반등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일부 중국 펀드 투자자들은 차익 실현에 나서는가 하면, 일부 투자자들은 현재 지수를 바닥으로 보고 저가 매수에 들어가는 등 엇갈린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박승훈 한국투자증권 펀드 애널리스트는 “1월에는 중국 펀드 투자자들이 대거 이익실현에 나서면서 중국 펀드 설정액이 감소했지만, 최근 환매 강도가 약해지고 일부 저가 매수세가 들어오면서 지난 14일부터 20일까지 펀드 설정액이 100억원 늘었다”고 말했다.
중국 펀드 투자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부분은 결국 중국 증시 조정세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여부다. 중국 증시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면, 적어도 2분기까지는 중국 본토 증시는 물론 홍콩 증시 전망도 그리 밝지 못하다. 당분간 중국 정부 정책을 예의주시하면서 중국 증시 안정 여부를 확인하고 투자 여부를 결정해도 늦지 않다는 의견이 많았다.
허재환 대우증권 애널리스트는 “중국도 결국 세계 경기 둔화세에서 자유롭지 못한데다, 최근 중국 본토 증시는 물량 부담까지 가중된 상태”라며 “보호예수물량 출회와 중국 기업의 빈번한 유상증자는 올 한해 내내 부담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중국 증시의 해제 예정 보호예수물량 추정치
|
양선아 기자 anmadang@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