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3.13 20:52 수정 : 2008.03.13 20:52

대부업→제도금융 갈아타기
신청자 적고 승인률 절반이하
“30%대 금리 20%로 낮춰야”

인천에 사는 이아무개(38·학원강사)씨는 급하게 쓸 곳이 생겨 무보증·무담보라는 대부업체 광고를 보고 200만원을 빌렸다. 월 11만원의 이자라면 견딜만 했고, 은행 대출을 받아 갚을 생각이었다. 하지만 은행에선 대부업체를 이용했던 사실이 ‘낙인’이 돼 돈줄이 막혔다. 그러던 이씨는 지난해 12월 대출환승제(이른바 ‘환승론’)의 문을 두드렸다. 추가로 빌린 440만원을 포함한 640만원에 대해 월 35만2천원(연리 66%)의 이자를 1년6개월간 냈는데, 연리 28%로 640만원(월 이자 14만9천원)을 대출받아 대부업체 빚을 모두 갚았다. 매달 20만3천원을 절약한 것이다.

지난해 6월 시작된 환승론이 조금씩 정착되고 있다. 환승론이란 고금리 대부업체 이용자 가운데 상환실적이 좋은 사람의 경우 금리가 낮은 제도금융권(저축은행 등) 대출로 전환해 주는 제도이다.

금융감독원 집계 결과, 환승론을 통해 대부업체의 고금리 대출에서 벗어난 사람은 올해 2월 말 현재 882명에 이르렀다. 1600여건, 44억원이 제도금융권으로 갈아탄 것이다. 대부업체의 이자율이 보통 60% 수준에 있는 것에 견줘, 환승론의 평균 대출금리는 연리 37.1%였다.

하지만 아직 갈길이 멀다. 지난해 6월 제도 시행 뒤 250여일이 지났지만 2월말까지 전체 신청자는 1932명에 불과했다. 하루 8명이 안되는 셈이다. 대출 승인율은 평균 46%이다. 금감원 쪽도 부족함을 인정하고 있다. 금감원 서민금융지원팀 관계자는 “아직 대출금리가 30% 후반으로 상당히 높은 상태이고 실적도 크지 않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은행권 자회사의 환승론 참여 유도 등 금융회사의 참여 폭을 늘려 금리를 낮추는 데 주력하고 있다. 현재 참여 금융사는 솔로몬저축은행 등 7곳이다.

송태경 경제민주화를 위한 민생연대 사무처장은 “대형 대부업체들이 연 17~49% 수준이라 환승론의 금리 수준으로는 갈아타도 별 효과가 없다”며 “무엇보다 상환실적이 좋은 사람은 리스크 부담도 없다는 얘기이니 이른바 서민금융기관이라면 환승론 금리를 20%대 아래로 떨어뜨려야 한다”고 말했다.

안창현 기자 blu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