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4.02 20:29 수정 : 2008.04.02 22:01

금융위원회가 신용회복 지원제도를 안내하는 홈페이지 화면에 개별 금융회사의 이름과 연락처가 틀린 곳이 수두룩한 채 방치되어 있다.(그림 위) <한겨레> 취재 뒤 금융위가 수정해서 홈페이지에 올려놓은 ‘신용회복 지원제도 안내’에는 개별 금융회사의 전화번호가 아예 삭제됐다.(아래)

금융위 홈피 엉터리 정보
금융사 전화 연결하니 ‘먹통’
한달 방치…뒤늦게 삭제

금융위원회는 지난달 31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금융소외자 지원 강화를 통한 따뜻한 금융 구현’을 올해 주요 정책목표의 하나로 제시했다. 앞서 대통령직인수위원회도 신용불량자 구제를 위해 파격적인 방안을 내놓겠다고 발표하는 등 이 문제에 심혈을 기울이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지난 1일 금융위 홈페이지에 들어가 ‘신용회복 지원제도 안내’를 살펴보니, 금융채무 불이행자(신용불량자)를 위한 지원제도의 운영 실태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엉터리 안내문이 방치되어 있었다.

안내된 금융회사 전화번호부터 틀렸다. 홈페이지엔 만기 연장 등을 상담할 수 있는 금융회사 40여곳의 전화번호가 소개돼 있다. 그러나 해당 번호로 각 금융회사에 전화해 보니, 지방은행과 일부 카드사 등을 빼고는 대부분 현재 사용되지 않는 번호였다. 심지어 조흥은행·한미은행·엘지카드 등 이미 인수합병 등으로 사라진 금융회사와 연락처도 그대로 홈페이지에 남아 있다.

금융위는 금융감독위원회가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과 통합해 만들어져 지난 3월3일 출범한 금융감독과 정책을 총괄하는 부처다. 출범한 뒤 한 달 가까이 엉터리 자료를 내보내고 있었던 셈이다. 금융위는 <한겨레>가 취재에 들어가자 3시간 만에 홈페이지의 문제된 내용을 황급히 삭제했다.

금융위는 엉터리 정보가 방치된 이유를 금융감독원 탓으로 돌렸다. 홈페이지 관리 총괄 책임자인 변영한 금융위 정책홍보팀장은 “인력이 부족해 (홈페이지를) 제대로 정비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신용회복 대책을 담당하는 금융위 중소서민과 관계자는 “금감원이 제때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아 이런 문제가 발생했다”며 책임을 떠넘겼다. 이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위가 이전에는 금감원에 모든 일을 시켜서 홈페이지를 운영해 왔는데 따로 떨어져 나가면서 홈페이지 내용물을 채울 게 모자라니까 이미 폐기된 자료를 올렸던 것 같다”고 말했다.

나아가 금융위는 신용회복 지원제도의 정확한 운영 실태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홈페이지엔 ‘한 금융회사에만 채무가 있는 경우엔 개별 금융회사들이 적극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개별 신용회복 지원 프로그램을 이용하도록’ 권유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금융회사들은 신용회복 지원과 관련한 공동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개별 프로그램은 중단한 지 오래됐다. 한 시중은행 채무담당 관계자는 “과거엔 개별 금융회사도 금감원의 지도 아래 별도의 신용회복 프로그램을 갖고 있었지만, 현재는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금융위 관계자는 “정확한 실태는 금감원이 파악하고 있을 것”이라고 또 책임을 미뤘다.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