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5.01 22:38 수정 : 2008.05.01 22:38

주요국 가계의 자산대비 금융부채 비율

가계 금융부채 증가속도, 가처분소득보다 빨라
자산 43%가 빚…한은 ‘금융안정지도’ 첫 작성

우리나라 가계의 빚이 늘고 이자부담이 무거워지면서 가계의 채무부담 능력이 갈수록 약해지고 있다. 부채 증가 속도가 소득 쪽보다 빨라 서민들 살림살이가 더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다.

한국은행이 1일 펴낸 ‘금융안정보고서’를 보면, 가계가 쓸 수 있는 소득으로 금융부채를 갚는 능력을 나타내는 가계의 ‘개인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2007년말 현재 1.48배로 2006년말의 1.43배보다 높아졌다. 이 수치는 2004년 1.27배, 2005년 1.35배, 2006년 1.43배 등 계속 높아지는 추세다.

특히, 미국의 1.39배, 일본의 1.17배(2006년 말 기준)보다 높다. 한은은 “이 수치가 높아진다는 것은 금융부채가 가처분소득보다 더 빠르게 늘어남을 뜻한다”고 설명했다.

가계 빚에 따른 이자 부담도 늘어, 개인의 가처분소득에 대한 지급이자 비율은 지난해 말 현재 9.5% 수준에 이르렀다. 가계 수익의 10분의 1을 이자 갚는데 쓴다는 것인데, 이 수치도 2004년 6.3%, 2005년 7.8%, 2006년 9.3% 등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외국과 비교해도 미국(2006년 7.5%)과 일본(2006년 4.7%)보다 높았다.

구체적으로 주택담보대출 실적이 많은 국민·우리·신한·하나 등 6개 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가계들을 대상으로 ‘원리금상환 부담률’(DSR)을 산출한 결과, 2005년말 15.3%, 2006년말 19.3%에 이어 지난해 말에는 20.2%로 높아졌다. 이 지표는 가계가 자산을 처분하지 않고 일상적 경제활동을 통해 번 소득으로 채무상환(원금+이자)을 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인데, 이 수치가 20.2%라면 연간 가처분 소득이 1천만원일 때 202만원을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으로 갚아야 한다는 뜻이다.

특히 계층간 원리금 상환 부담도 차이가 났는데, 저소득층의 부담이 더 컸다. 연소득 2천만~5천만원(저소득) 가계의 원리금상환 부담률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22.3%였으며, 연소득 8천만~1억원(고소득) 가계는 15.7%로 격차가 6.6%포인트에 이르렀다.

우리나라의 금융안정지도
빚이 많다 보니 가계의 전체 자산 가운데 금융부채가 차지하는 비율이 한국 43.3%로 미국(31.8%), 일본(22.7%)보다 크게 높았다. 가계 자산의 반이 빚인 셈이다. 한은은 앞으로 경기침체로 저소득 가계의 소득이 줄거나 집값이 급락할 경우 저소득층 가계의 상환 연체와 은행의 자산건전성 악화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가계 쪽과 달리 기업 쪽의 채무부담 능력은 기업 전반의 수익성이 호전된 가운데 대기업의 경우 차입금의존도가 개선됐으나 중소기업은 차입금의존도가 높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중소기업 가운데에서도 건설·부동산 관련업과 도소매·음식·숙박업과 같은 경기민감 업종에서 고위험기업 비중이 높아졌다고 한은은 밝혔다.

한편, 한은은 이날 국내 금융시스템 전반의 안정성을 시각적으로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금융안정지도’를 처음 작성해 공개했다.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은행의 건전성, 가계와 기업의 채무부담 능력 등 6개 부문의 평가지표를 평점화(10분위)해 육각형 형태의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금융안정지도에 나타난 결과를 보면, 2007년 4~9월보다 2007년 10월~2008년 3월 기간 중에 더 우리나라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안창현 기자 blu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